여유당전서 與猶堂全書 다산 정약용 총 75권(154권 76책중 1책 결번 ) 한문본
초판 한정판 발행 1934~ 1938년 걸쳐 완간 했습니다
아주아주 귀하고 귀한 희귀본입니다 아쉽게도 제2집 (9,10권 1책이 없습니다)
다른 고서점 검색해보니 전질은 없구요 몇권 낱권으로 권당 20만원에 판매 되었네요
판매가는 1300만원 판매하겠습니다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010 5448 8946 감사합니다
다산 정약용의 작품과 저서 모음집.
1934년부터 신조선사에서 정약용의 저서를 수집후 발간하였다.
이 책이 발간된 이후 정약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제목의 '여유당'은 정약용의 호이자 정약용 생가의 이름이다.
이름 자체의 기원은 노자의 도덕경 15장의 구절에서 따왔다.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1934년부터 1938년까지 신연활자[1]로 인쇄한 활자본으로 총 76책(전154권)으로 간행되었다.
정약용의 5대손 정향진이 1934년 비매품으로 초판을 편집 발행하였다.
**** 구성 ****
-
제1집
-
제1권~제22권(詩文集)
-
제1권~제7권(詩集)
-
제8권~제22권(文集)
-
-
제23권~제25권(雜纂集)
-
제24권: 아언각비(雅言覺非)
-
-
-
제2집(經集)
-
제1권: 대학공의(大學公議)
-
제2권: 대학강의(大學講義), 소학지언(小學枝言), 심경밀험(心經密驗)
-
제3권: 중용자잠(中庸自箴)
-
제4권: 중용강의(中庸講義)
-
제5권, 제6권: 맹자요의(孟子要義)
-
제7권~제16권: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
제17권~제20권: 시경강의(詩經講義)
-
제21권~제28권: 상서고훈(尙書古訓)
-
제29권~제32권: 매씨서평(梅氏書平)
-
제33권~제36권: 춘추고징(春秋考徵)
-
제37권~제44권: 주역사전(周易四箋)
-
제45권~제48권: 역학서언(易學緖言)
-
-
제3집(禮集) - 총 24권
-
제1권~제16권: 상례사전(喪禮四箋)
-
제17권~제20권: 상례외편(喪禮外編)
-
제21권~제22권: 상의절요(喪儀節要)
-
가례작의(嘉禮酌儀)
-
예의문답(禮疑問答)
-
풍수집의(風水集議)
-
-
제4집(樂集) - 총 4권: 악서고존(樂書孤存)
-
제5집(政法集)
-
제1권~제15권: 경세유표
-
제16권~제29권: 목민심서
-
제30권~제39권: 흠흠신서
-
-
제6집(地理集)
-
제1권~제4권: 강역고 - 아방강역고라는 다산의 서적(총 10권)을 압축 서술하였다.
-
제5권~제8권: 대동수경(大東水經)
-
-
제7집(醫學集) - 총 6권: 마과회통(麻科會通)
**** 관련문서***
[1] 일본에서 도입한 활자
[2] 金誠鎭, 1874~1946
[3] 鄭寅普, 1893~1950, 호:爲堂
[4] 安在鴻, 1891~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