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오디오용? 송신용?

by 윤영진 posted Apr 17,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도 송신용으로 개발된 진공관을 오디오 앰프에 그다지 많이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오디오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좋다는 편견도 없습니다.

송신용으로 개발된 고주파용 진공관들에 대해서 오디오용으로는 부적합하다는
말씀을 하는 분들이 많은데, 일견 맞기도 하고 일견 틀리기도 한 말입니다.

주로 송신용관들에 대한 안좋은 평가의 대종은
"중고역쪽으로 밸런스가 치우쳐 있고, 음색이 강하다."는 평입니다.

그러나 고주파용 송신관들을 오디오용으로 사용할 때는
일반적인 오디오용 관들과는 좀 다르게 다뤄야 합니다.

데체적으로 송신용으로 개발된 관들은 오디오용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히터 전류를 많이 흘리고, GM값이 높고, 바이어스를 낮게 거는 편입니다.
심지어는 + 바이어스를 거는 관들도 상당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댐핑이 상당히 좋고 음이 경직되게 나오기 십상입니다.
TR소리와 근접하게 되지요.

따라서 송신용 관들을 사용할 때는 오디오전용관에 비해서
플레이트 부하를 좀 많이 걸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플레이트 부하를 많이 걸어주면 배음이 많아지고 저역 쪽으로 밸런스가 내려가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OPT를 쓸 때도, 1차 부하를
가장 일반적인 관 임피던스의 2.5배 를 기준으로 삼기보다는
3.5-5배 사이에서 잡는 것이 좋습니다.

그냥 오디오전용관에서 익숙하게 사용하던 회로 시정수를 사용하다보면
송신용 관들은 음이 강하고 음악성이 없다는 편견도 나옵니다.

물론 전류량도 음을 들어가면서 조정해서 좀 낮추는 것도 한 방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