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클래식을 위한 알텍

by 이규영 posted Sep 08,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그 시끄러운 알텍을 가지고 클래식을 울릴수 있는까란 의견들이 있어 몇가지 제 사견을
말씀드려 볼려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형 시스템에서는 클래식에 알텍이 최고입니다.^^
물론 알텍과 상반된 특성을 가진 탄노이가 비유되기도 하지만 잘만 부벼놓으면 탄노이를
능가하는 바이얼린 소리에다 탄노이에 없는 중저역의 사실적이고 강열함을 맘껏 맛볼수 있습니다.
최고의 성악,최고의 관악,최고의 타악기(피아노포함) 소리를 잘 내 주는 스피커가 알텍말고 또 있을까요?
알텍을 재즈용이라고 폄하해 버리는 것은 소리내기 힘겨워 포기한 분들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형상으로 밖에 안보입니다.
알텍이 좋은 스피커임에는 반론의 여지가 없지만 소리내기가 힘든것도 사실입니다.
이게 바로 명기의 속성이 아닐까요?

제가 알텍을 입문하게 된 배경을 잠시 말씀드리면....
4년전쯤 대음량으로 울릴수 있는 공간은 준비됐고 약 1여년간 대형 스피커시스템을 찾아 다녔습니다.
평소 클래식을 즐겨들은지라 제 손에는 항시 말러교향곡과 푸치니 오페라가 들려져 있었고
대부분의 내 놓으라는 대형시스템에는 이놈을 집어넣으면 모두들 나자빠 졌습니다.
눈가림식 유닛에서는 대편성의 복합적인 음향을 소화해 내기가 힘겨웠던 것이죠.

그런데 당시 무척 허접했던 A7에서 나오는 투란도트 아리아는 말 그대로 천상의 소리였습죠.
도저히 어울릴것 같지 않은 맥킨토시 프리에다 275에 물려 있었는데도 말입니다.
그뒤 알텍과 클래식의 씨름은 제 가장큰 숙제가 되버렸고 그 가능성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클래식 재생시 소형 하이엔드 스피커에선 그런대로 들을만하게 울려주지만
우퍼가 커지고 혼타입으로 가면 이게 점점 산만해 지고 시끄러워 지게 됩니다.
거기다 알텍은 감도가 살인적이어서 이놈을 다스리기란 보통 어려운게 아닌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한가지 확실한것은 알텍유닛 잘못이 절대로 아니라는 겁니다.

아직도 부족한게 많지만 그간 오직 클래식만으로 알텍을 튜닝해 오고 있는지라 나름대로
클래식을 잘 재생해 내기위한 방법을 열거해 보겠습니다.
물론 클래식을 잘 재생한다고 팝이나 재즈를 못재생하란 법은 없습니다.
그건 부수입일 뿐입니다.
그리고 알텍 유닛은 어느것을 쓰더라도 완성도가 크다고 생각하기에 유닛에 대한 논의는 생략하겠습니다.

1.인크로져
항상 외치는 얘기이지만 828통으로는 품위있는 클래식을 재생하질 못합니다.
흔히들 클래식은 저음이 없어도 된다고 생각하지만 현장음을 잘 들어보면 스피커에선 엄두도 낼수 없을만큼
엄청난 저음이 쏟아져 나옴을 알수 있습니다.
828통은 정보를 또렷히 멀리 보내기 위해 저역을 인위적으로 롤오프 시키고 중역을 강조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통입니다.

예로 극장에서 828통 대신 베이스 리플렉스통을 사용한다면 뒤에 앉은 사람은 벙벙거리는 소리만 들릴것입니다.
극장에선 828통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극장에서 나오는 풍성한 저역은 828통에서 나오는 저역이라기 보다는 큰 공간의 울림에다
이 통을 썼던 대부분의 극장이 828 가운데다 서브우퍼를 사용했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가정의 좁은 공간에서 클래식 전용으론 중음이 왜곡되고 불룩 터져나온
'기형혼통'보다는 피라밋형태의 평탄한 음상을 제공하는 베이스 리플렉스통이 훨씬 유리합니다.

클래식을 잘 울리기위해선 젤 먼저 828통을 버려야합니다.
베이스 리플렉스 통중에서는 606통이 정평이 나있고 또 다른 대안이 없어 보입니다.
다만 통을 제작할때 반드시 오리지날 도면에 충실해야합니다.
사이즈는 말할것도 없고 내부 보강목 크기와 붙임형태,통의 접합형태등에도 일체의 오차가 생겨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재질로는 자작나무 합판이 젤 좋아 보이지만 MDF도 전혀 손색이 없을것 같습니다.

2.혼
이 부분도 멀티셀 혼을 버려야 질좋은 클래식을 들을수 있습니다.
이놈으론 아무리 노력을 해도 상큼하고 낭창낭창한 고역을 들을수 없습니다.
멀티셀은 혼의 구조상 고역을 잡아먹어 쉬 건조하고 산만해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2WAY에서의 경우이고 트위터를 첨가한다면 고역깍임을 어느정도 개선할수는 있을겁니다.
또 정교한 클래식 감상에서 정위감은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멀티셀은 이 부분이 쥐약입니다.
구멍이 많아질수록 고역특성과 정위감이 비례해서 나빠지고 밀도감마저 사라져 강렬한 혼 맛도 잃게 됩니다.

멀티셀 혼은 극장이나 공연장 같은데서 여기 저기 흩어져 앉아있는 많은 사람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코자 만든것이지 고품위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 만든것이 아니란 사실을 간과해선 안될겁니다.
A7혼으로는 511타입의 지수혼이 가장 좋지만 혼 울림이 심해 데드닝은 필수있고
A5혼으로는 511 펑튀기 311-90정도가 대안이기는 하지만 이도 단점 투성이어서 차선책 이상은
되지 않을것 같습니다.

3.네트웍
저 개인생각으로 알텍 네트웍은 유닛의 완성도에 비해 너무나 허접하다는 생각을 떨칠수 없습니다.
도데체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도저히 이해하기도 어려울 만큼 알텍 스피커의 실패작이라고
단언하고 싶습니다.
오리지날 네트웍을 고집해 가지고는 질좋은 클래식을 듣기에 요원하다는 생각뿐입니다.
다만 팝이나 가요에서는 까실한 소리가 색다른 맛을 내기도 했습니다.

4.엠프류.
프리엠프로는 트랜스 방식이 알텍에 상성이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여타 CR결합방식도
훌륭하게 재생해 줍니다.
파워엠프도 6L6계열이 좋다고는 하지만 5극관PP는 어느것도 무난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즉 사용 관보다는 설계방식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당연히 알텍엠프 방식이 잘 어울리는것 같으므로 다른 방식은 연구대상에서 제외시켰습니다.
알텍스피커용 엠프는 가급적 심플하면서도 완성도 있는 엠프가 우선인것 같습니다.
극관 PP도 음악성은 뛰어나지만 가늘어진 음색이 알텍에는 어울리지 않는것 같아 망서려 집니다.

5.엑세사리
아직 케이블에 대해서는 시험해 볼 기회가 적었지만 케이블은 마지막 튜닝포인트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재미삼아 한두가지 해본 결과로는...
스피커에서는 주석선과 동선차이를 거의 느끼질 못했고 인터에서는 상성에 좋다는 주석도금보다
구리선이 더 나아 보이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엠프 제작시 주석선과 구리선을 혼합해 쓰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시간을 두고 연구해볼 요량입니다.

이런저런 얘기를 늘어놨지만 저도 아직 해 놓은게 별로 없습니다.
현재 828통과 805혼을 쓰고 있는 입장임에도 클래식이 그런대로 들을만 하니 꼭 그놈들 탓만도
아닌것 같습니다.
솔직히 뭐가 왕도인지 모르겠습니다.
또 여기에 열거한 버려하 할? 물건들을 저도 쓰고있고 다른 분도 만족스럽게 쓰고있슬 터인데
너무 심한 험담을 한것 같아 죄송하기도 합니다.
강력한 비유를 위한 것이었으니 갚은 양해 바랍니다.

현재 알텍을 위한 분투중 우선 LCR포노이큐가 최근에 완성되었고, 얼마전엔 알텍 트랜스프리,
또 일찌감치 네트웍 정도는 제 능력에 비해 끝까지 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향후 계획은 지금쓰고 있는 508타르 대신 우드혼을 제작하고 있으나 제작자가 너무 바빠 기약할수가 없고,
828통 대신 자작나무 606통은 거의 1년만에 완성단계에 있습니다.
파워엠프는 오래전부터 꿈 꿔왔던 대출력 고품질 트랜스 구입이 드디어 완료되어 제작을 개시했는데
이놈이야 내손으로 하는것이니 만큼 금년내로 해결될것 같습니다.
이제 턴테이블과 승압트랜스가 남았는데 금년엔 출혈이 커서 내년으로 연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위에 열거한 대로만 된다면 정말 자랑할만한 클래식 전용? A5가 될것 같고
고민에 빠진 클래식 애호가를 맘놓고 초대하여 대책을 숙의해 볼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알텍을 주무르면서 생각나는 말이 하나 있습니다.
'민감한 알텍을 위해 주변기기를 멍청하게 만들지 말자!
무식한 놈은 무식하게, 섬세한 놈은 더욱 세심한 배려를.....'
=3=3=3  

[사진설명]
클래식의 왕좌를 찾이하게 될 우드혼과 606통.
예전에 A7을 보내려고 만들었던 막통의 풍성한 저역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작년 한상현님 집에서(사진) 606통과 우드혼에서 나오는 말러 3번의 유려함에서
<종소리>가 또렷히 들려왔습니다.
'이제 알텍은 끝났다....^^'

  

Articl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