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VOTT-연재6- 개선 드라이버네트워크세팅

by 한계남 posted Jul 15,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 개선 –드라이버

필자는 288 계열의 드라이버가 현재 팔리는 어떤 것 보다 더 훌륭하다고 생각하나 288, 288B, C. D. E는 대형의 시스템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팔아라….
후기의 알니코 모델인 288-8G, 16G, 32G, 8H, 16H, 및 페라이트 계열인 288-8K, 16K, 8L, 16L 이 월등히 좋은 유닛이다. 이들은 앞에 것 보다 2db 정도 능률이 좋고 10,000 Hz 이상도 훨씬 잘나온다.

만약 후기의 드라이버를 갖고 있지 않고 구형을 갖고 있다면 최근의 알텍 299-8A (8옴)나 299-16A(16옴) 으로 교환하길 바란다. 이 유닛은 사운드 퀄리티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2 1/2배 높은 출력을 낸다. 만약 후기의 288을 갖고 있다면 알텍으로 보내서 크리닝, 얼라인먼트, 리마그네타이징을 시키는 것이 좋은데 가급적 299 드라이버의 다이아프램인 25884(8옴), 25885(16옴) 으로 교환 하길 바란다. 그러면 299와 같은 출력을 얻게 될것이다. 페라이트 계열의 드라이버도 이것으로 바꾸면 좋다. 페라이트는 알니코처럼 자력 열화가 있지를 않는데 오실로 스코프를 사용해 보이스 코일이 닿는지를 검사하길 바란다. 이게 닿으면 형편없는 소리를 내게 된다.

만약 하는 수없이 구형 드라이버를 사용해야만 한다면 다이아프램 만이라도 299 계열로 바꾸길 바란다. 그러나 288과, 288B는 약간의 개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 구형 드라이버들은 비교적 장소가 좁은 오라토리움등에서 벤티드 박스형 싱글 우퍼나 소형의 베이스 혼 인클로져 우퍼들과 저 출력으로 사용하면 되고 Mantary 혼인 MR2-5와 잘 어울린다.

최고의 성능을 원하면 더큰 마그넷을 사용하는 드라이버를 사용하길 바란다.

소형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는 (1인치 트로트) 신형의  909 드라이버로 교체하길 바란다. 모든 소형 드라이버는 굉장한 유닛이고 약간만 개선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좌석이 300석 이상인 경우에는 804,806,807을 사용치 말도록.
410석 이 상인 경우는 802,808, 패라이트인 902,908,909 드라이버를 사용치 말도록.
이 이상인 경우는 288또는 299 드라이버를 사용토록…

800계열 드라이버를 알텍에 보낼 경우(리마그네 타이징등…) 909드라이버의 24620(8옴), 24621 (36옴) 다이아프램으로 교환하도록…이러면 909와 같은 출력을 갖게 된다. 페라이트인 902-908도 이것으로 교환하도록 한다.


12. 크로스오버

절대적으로 바이앰핑하길 바란다. 절대로 패시브 크로스 오버를 사용하지 말길 바란다.사운드 퀄리티가 아마 열배는 좋아질 것이다.
패시브 크로스오버는 비상용으로만 갖고 있길 바란다.
그리고 바이앰핑하더라도 절대로 스피커 매칭 트랜스포머를 사용치 말길 바란다.

13. 결론

지금까지 과정을 그대로 따라 했다면 당신은 아마도 훌륭한 저역, 혼 형 캐비닛에 의한 벤티드 캐비닛 보다 디스토션이 없는 중역, 적절한 혼으로 인한 훌륭한 고역을 듣게 될 것이다. 세계 최고봉의 스피커 시스템이다.

혼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데 혼을 원래 놓으려는 위치에 놓고 뒤에서 들여다 보길 바란다.
너무 넓게 보이면 작은 패턴의 혼을 사용하고 방의 일부만 보이면 큰 패턴을 사용한다. 만약 중간에 있다면 가급적 작은 혼을 사용하도록 왜냐하면 스크린이 고역을 분산 시킬 것이다.

825-828 인클로져는는 중역이 수평 90도 수직으로 75도의 방사 패턴을 갖는데 천정으로 너무 치우치면 중역의 에코 현상이 생기므로 조심 하여야 한다.

대형 시스템인 더블우퍼 사용하는 A4는 저역이 90Hz 이하 우퍼4개 쓰는 A2는 60 Hz 이하 , 우퍼 6개 쓰는 A1은 45Hz 이하까지 재생하게 된다.
앰프를 사용할 경우 물론 멀티 앰프 시스템을 권하지만 515 계열은 75와트 의 출력을 낸다. 앰프 선택시 비록 그러한 최대 출력을 원하지 않더라도 최대 75와트 출력 앰프를 걸길 바란다. 모든 유닛은 왜곡된 신호 보다는 깨끗한 신호에 더 잘 견디게 된다. 기존의 288 계열이 20와트 핑크 노이즈 레이팅인 반면 299 다이아 프램을 사용하는 288은 핑크 노이즈 레이팅이 50 와트이다.
기존의 800 계열은 15와트이고 909 다이아프램을 사용하면 30와트의 출력이 된다.

여러 개의 우퍼를 쓰는 겨우 2옴까지도 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스피커 케이블이 상당히 굵어야 한다. 어떤 경우도 10% 이내의 손실로 해야만 한다.
나는 우퍼를 8옴짜리를 추천하는데 Tr 앰프에 다이렉트로 걸면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형 VOTT에서는 500 Hz 컷이 제일 좋은 것 같은데 크로스오버는 12db/octave 를 사용토록한다. 18db는 부자연 스러운 소리를 내며 24db  linkwitz/Reilly 가 2번째 선택이다.

마지막으로 real time analyzer 와 polarity 스위치를 이용해 드라이버를 우퍼 위에 세팅하도록 한다. 이것을 맞춘뒤 이퀄라이제이션을 한다.

이글을 쓸 당시 도움을 준 알텍의 Bill Hayes, Bill Scott Lesley, Ted Uzzle, Gary Jones, Jim Brown, Jerry Hubbard 등에게 감사를 한다. 그러나 이들은 지금 알텍에서 근무를 하지 않는다……………………Jim Dickinson /Theater Consul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