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VOTT에 관한 연재2--열화드라이버

by 한계남 posted Jul 14,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문제-열화

이 유닛은 40년 정도가 된 것이고 인클로져는 합판이 일어나기도 하며 어떤 것들은 부식이 되기도 하였다.아마 가장 심한 것이 드라이버의 열화 일텐데 어떤 경우는 우퍼 엣지가 갈라지고 어떤 경우는 보이스코일이 닿는 소리도 들린다.
세월이 흐른 덕에 알루미늄 다이아프램이 망가지기도 하고 또 얼라인먼트가 틀려져 보이스 코일이 닿는 소리도 들린다.( 이 얼라인 먼트가 틀려지면 보이스 코일이 옆에 닿아 음이 떨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이 경우 다이아프렘을 유닛에 고정하는 구멍을 조금 늘려 음을 들으면서 센터를 맞춰 장착을 하면 고칠 수가 있습니다.—역자 경험담임)

인지하기가 어렵지만 가장 많은 경우가 알니코 자석의 자력 저하 일 것이다.이렇게 되면 우퍼에서는 미드레인지가 줄어들게 되고 드라이버에서는 고역이 줄어들게 된다.10-20 % 정도의 자력이 떨어진 것을 보는 것은 아주 흔한데 이는 알니코 자석 자체의 문제점이다.

드라이버를 과부하 걸거나 물리적인 충격으로 드라이버가 망가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보면 자력이 50% 정도 밖에 안 되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이 경우 아무리 다이아 프램을 교환하여도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remagntising (재자화)만이 유일한 해결 방법이다. ( 미국 캘리포니아의 Great Plains Audio 라는 곳에서 이 작업을 해줍니다.-역자 주)  

2.문제-고역 드라이버

모든 288드라이버는 훌륭한 드라이버인데 288,288B,C,D는 신형인 288G,H,K 모델에 미치지 못한다. 필자의 소견으로는 구형은 더 이상 대형 시스템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288의 가장 큰 문제는 소출력인데 어떤 이는 컴포지트 진동판을 사용해(291드라이버가 됨)깨지는 것을 막는데 이것은 고역의 감소와 민감성이 떨어진다. 291드라이버가 물론 타 드라이버를 앞지르지만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알텍은 좋은 특성과 대 출력을 겸비한 299드라이버를 선보였다.

대형 유닛인 288과 마찬가지로 1인치 유닛 ( 트롯 부분)도 상당히 좋은 유닛이다. 필자의 소견은 페라이트 계열의 902,909 유닛이 가장 좋은 소리를 내고 그 다음 순으로 알니코 802 계열, 다음이 알니코 804/806 계열 그 다음이 페라이트 908, 다음이 알니코 808, 마지막이 807 계열이다.

802,804,806,902 계열의 가장 큰 불만은 저 출력이라는 것인데 어떤 이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출력 “symbiotic” ---플라스틱 종류---진동판을 사용하여 802를 808로 변형, 804,806을 807로 또 902를 908로 변형하기도 한다.

이러한 타잎의 드라이버는 1970년 초기 A7(807), A7-500(808)의 스탠다드 모델이었는데 예민한 반응이 뒤떨어져 802,806이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Symbiotic”은 민감성에 대하여는 한참 뒤진다.
1988년 알텍은 902의 주파수 특성과908 ”Symbiotic” 진동판의 고출력을 겸비한 902모델을 출시하였다.

800의 1인치 드라이버는 1.75인치의 진동판을 가졌다. 이진동판과 1인치 트롯(음의 출구)를 가진 유닛을 연구한 결과 최대 410석의 공간 (한 좌석당 200-225 평방 피트) 의 영화관에서만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왔다. 이 이상에서는 왜곡이 급격히 증가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듣기 싫어하며  특히 예민한 여자들에게는 상당히 거부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알텍만의 문제가 아니라 1.75/1인치를 사용하는 JBL, TAD, RENKUS, HEINZ, TOA, RADIAN등 모든 드라이버의 공통된 현상이다.

알루미늄 진동판을 쓰는 802,804,806,902는 이 현상이 반복되면 진동판이 깨지게 된다.
컴포지트 진동판을 쓰는 807,808,908들이나 신형 “Pacolite” 진동판을 쓰는 909드라이버는 이러한 과도한 사용에서도 괜찮은데 이유는 이러한 큰 장소에서의 대출력시  “driver cry”라 알려진 고역에서 약간 까칠까칠해지게 되는 현상 때문이다. 곧 닥쳐올 다이내믹 레인지가 큰 미래 영화 필름에서는 이문제가 심각해지게 된다.
이러한 공간에서는 288이나 299 드라이버로 바꾸어야 한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