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기

PC86 라인 프리앰프

by 정호윤 posted Apr 19,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PC86을 이용한 라인 프리앰프입니다.
IMG_0114.jpg

PC86은 형번을 보시면 아실 수 있듯이 히터 전류를 300mA이 고정되고 히터 전압이 제각각인 히터 규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전원 트랜스포머가 없는 TV나 라디오를 위해 정해진 규격으로 진공관의 히터를 직렬로 줄줄이 엮고
여기에 100V 근처의 댁내 전원을 바로 인가하여 점화하는 다소 거친 방법입니다.

6.3V 고정에 전류가 제각각인 E 히터규격과는 달리 이러한 직렬연결 점화가 일반적인 P 히터규격은
E 규격에 비해 높은 히터-캐소드 절연 전압을 가지고 있고,
아예 E 히터규격이 없고 P 히터규격만 있는 관들은 상당히 높은 히터-케소드 절연전압을 가지고 있는것들도 있습니다.

PC86은 3.6V/0.3A, EC86은 6.3V/0.2A 의 히터규격을 갖습니다.

이번 캐thㅓ린(th발음이 중요합니다.)은 WE404A를 쓴 쉐릴과 같이 게리 핌의 SBCCS -> 매칭 트랜스포머 조합입니다.
IMG_0083.jpg
쉐릴은 케소드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있는 쪽이 좋았는데, 이번에는 없는쪽이 나았습니다.

이번에 쓴 트랜스포머는 BULOVA 의 T-2479 라는 제품으로 쉐릴에 쓴 트랜스포머와 비슷해서
전류는 흘릴 수 있으나(!) 공표 주파수가 kHz 단위로 커패시터로 직류를 끊고 매칭트랜스포머로 썼습니다.
IMG_0071.jpg 
PC86은 적은 전류량에서도 충분한 전압 이득이 나왔기 때문에 쉐릴과 똑같은 전원트랜스포머를 썼지만,
각 채널별로 전원부를 분리할 수 있었습니다.
IMG_0066.jpg 

당초 전원트랜스포머를 세우려 했는데, 구조상 도저히 세울 수 없는 상황이 되어 결국 가이드를 특주하여 뉘이게 되었습니다.
IMG_0068.jpg
가이드로만은 전원트랜스포머를 잡을 수 없어 끈으로 꽁꽁 묶었습니다.
(앞서 보신 지인 왈 '환자가 붕대를 묶은것 같네.')

초크코일에서 갈려 SBCCS 와 0A2 2개 직렬로 300V에 맞춰진 분류형 정전압회로를 썼습니다.
IMG_0081.jpg 

이번에도 1개당 만원을 넘는 고내압 쇼트키 다이오드를 썼습니다.
IMG_0075.jpg 

SBCCS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해 주판은 금속제로 해야했고,
설계상 바닥쪽에 부품을 실장해야했기에 바닥판은 2중으로 구성되었습니다.
IMG_0079.jpg 

IMG_0092.jpg 

IMG_0089.jpg 

이번 분류형 정전압회로에서도 역시 테플론 커패시터를 바이패스 커패시터로 썼습니다.
IMG_0095.jpg 
튼튼한 금속단자와 충분한 내압, 고품질 절연재료로 개인적으로는 바이패스 커패시터로 쓰기엔 아깝습니다만,
더할나위 없이 알맞는 용량과 내압과 품질로 눈물을 머금고 투입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상판쪽에서 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IMG_0104.jpg
전원트랜스포머와 초크코일 및 다소 높이가 필요한 히터정전압 전원부 및 B전원 정류부, 커패시터,
PC86과 매칭트랜스포머, 0A2등이 위치합니다.

하판쪽에서 본 모습입니다.
IMG_0097.jpg
분류형 정전압 전원부를 위한 SBCCS 2회로분, 0A2 바이패스 커패시터인 테플론 0.056uF/500V,
PC86의 부하인 SBCCS 2회로분과 커플링커패시터 등이 보입니다.

전기적 특성입니다.

※ 전기적 특성은 사람의 신체검사와 같은것으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기계적 특성이 재생음색을 나타내는것도 아니고, 기계적 특성의 우수함만을 목표로 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제가 만든 기기의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고 싶을 뿐입니다.

이득 - 약 7.2배, 약 17.15dB, 뒤집어 되먹임 없음
잔류잡음 - 입력을 접지에 단락한 상태 왼쪽/오른쪽 - 0.028mV/0.0284mV, JIS-A 보정 0.0055mV/0.0056mV
최대출력 - 찌그러짐이 시작될때 8.4V @ 1kHz, 100kOHM 부하

주파수 응답입니다.
PC86_PARAFEED_fr_res.png
쉐릴과 비슷한 성향의 매칭트랜스포머이므로 역시 비슷한 모양이 나옵니다.
저역부분의 튐 이후 급격한 감쇠도 이미 알고 있었던 부분으로 신경쓰지 않습니다.
-3dB는 36Hz~199kHz(-1.58dB), 20~20kHz는 -7.64~0dB 입니다.

입출력 특성입니다.
PC86_PARAFEED_inout.png
최대 출력인 8.4V 부터 완만한 곡성을 나타냅니다.

찌그러짐 특성입니다.
PC86_PARAFEED_dist.png
고주파에 맞게 설계된 트랜스포머답게 다른 두 기준 주파수에 비해 높은 100Hz의 찌그러짐을 볼 수 있습니다.
1kHz와 10kHZ는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같은 모습을 보입니다.

완성된 앞 모습입니다.
IMG_0106.jpg

쉐릴과 마찬가지로 갑자기 만들게 된 기기로 아주 즐거운 경험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