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정보

고압 쇼트키 다이오드

by 신정환 posted Jul 15,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쇼트키 다이오드는 reverse recovery time(역 회복시간)이 매우 짧다는 큰 장점에도 불구하고....역내압을 크게 할수 없다는 점때문에 진공관 B전원 용으로는 사용하기 힘들었습니다.

보통은 빠른 스위칭 특성을 요구하는 SMPS에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fast recovery 보다도 훨씬 짧다고는 하지만  역 회복시간이 분명 존재했습니다.
시중에 부품가게에서 저렴하게 판매되는 쇼트키는 모두 recovery time 이 있고 역내압도
낮은 제품들입니다.,

그런데 몇년전부터 정류관 처럼 reverse recovery time이 "0" 인 쇼트키 다이오드가
발매 되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역내압도 기하 급수적으로 커진 쇼트키 다이오드가
발매되기 시작했습니다.

정류관 같이 reverse recovery time 이 "0" 이고 고역내압 쇼트기 다이오드는
모두 silicon carbide 로 만들어진 다이오드들입니다.

silicon carbide 가 어떤 물질인지는 제가 모르겠으나....어쨌든 이 물질로 만든 다이오드는
일반 다이오드와 쇼트키 다이오드의 단점을 해소하여...

reverse recovery time 이 "0" 이고 고역내압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런 다이오드를 생산하는 회사가 얼마나 많은지는 모르겠으나
현재 digikey에서는 cree사와 infineon사 두회사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처음 발매 당시는 가격이 매우 비쌌습니다. 1200V 짜리는 100불을 홋가했었습니다.

파워앰프에서 출력단은 다이오드 정류를 선호하였기에...
요즘엔 가격이 많이 떨어져서 관심을 갖고 있었는데...미국에 있는 친구가 이를알고
한국에 들어올때 선물로 사가지고 왔습니다.

3종류인데요 모두 silicon carbide 이므로 reverse recorvery time = 0 이고..
각각 , 600V/1A (0.9불 정도, cree사), 600V/4A (5.8불 , infineon사),
1200V/4A (9.3불 , cree사)입니다.

급한 마음에 600V/4A 짜리를 단골 부품가게에 가지고가서 B용(단파 300V)으로 사용된
FAST RECORVERY 다이오드를 떼어내고 브릿지연결하고 바꿔 달았습니다.

그곳앰프는 초단과 드라이브단은 정류관 , 출력단은 다이오드 정류로 되어 있는 앰프인데
출력단 다이오드를 바꿔 달아봤습니다.

일단 소리의 끝마무리가 훨씬 깨끗해지고 섬세해 집니다. 전반적으로도 잘 정돈되고..
해상력도 증가하고...막힘없이 소리가 쉽고 매끄럽게 나와서 뻗는 느낌입니다.
물론 다이오드의 장점도 잘 살아있고
FAST RECORVERY는 이에 비하면 지저분하고 , 뭉툭하고 , 두리뭉실한 느낌입니다.
저는 물론  가게 사장님도 같이 감탄했습니다.

물론 다이오드 끼리의 비교입니다. 정류관을 선호하시는 분들께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다이오드 정류에 관심있던 분들은 한번 추천해 봅니다.

저는 바이어스 단과 직렬관 필라멘트에 모두 달아보려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어느정도 출력이 나가는 앰프에서는 초단과 드라이브 단은 정류관으로
출력단은 다이오드로 하는 방법을 선호 합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