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패러피드용 출력트랜스의 선택

by 윤영진 posted Sep 01,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패러피드용 출력 트랜스에 어떤 코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지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물론 장단점이 있고, 다양한 변수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어떤 것이 좋다고 말하는 것은 무리일 것입니다.
다만, 오디오용으로 사용된다는 관점에서 개인의 선호도를 통해서 선택의 기준은 제시될 수 있습니다.

일단 일반 트랜스결합 진공관앰프의 출력트랜스로 사용되는 경우 즉, DC 바이어스 전류를 흘리고 대전력을 취급하기에는 분명 실리콘 코어가 훨씬 편합니다. 제작도 편하고 이에 따라 종합적인 특성을 좋게 하기도 유리하며 여기 더해서 제작 가격에서도 크게 유리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진공관 파워앰프에는 실리콘 코어를 사용한 출력트랜스가 사용됩니다.

반면 DC 바이어스를 흘리지 않고 소전력을 취급하는 경우, 또는 고주파 전력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단연 니켈코어라 불리는 (Permalloy, Mu-metal 등의 코어)가 유리합니다.

이유는 포화자속밀도와 투자율의 차이, 코어 손실(히스테리시스, 와전류)의 차이 등에서 기인합니다.

그래서 출력트랜스, 라인출력트랜스, 인터스테이지 등에는 실리콘 코어가 대부분 사용됩니다.

반면, 승압트랜스, 입력 트랜스 등에는 니켈(permalloy, mu-metal)가 많이 사용됩니다.


그런데 패러피드용 싱글 출력 트랜스는 이런 양자의 적합한 용도 분류에 따르자면 어중간한 위치에 존재합니다. 굳이 구분하자면, DC바이어스를 흘리지 않는 중전력 용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패러피드 회로에서는 부하를 쵸크가 담당함에 따라 작은 트랜스로도 저역 특성을 아주 좋게 만들 수 있고, 고역특성도 개선되는 한편 퍼멀로이 코어의 본질적으로 좋은 고역 특성도 함께 살릴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개인적 선택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종합적인 판단에 의하자면 패러피드용 출력 트랜스의 코어 재질로는 퍼멀로이 코어가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 가격 문제에 있어서는 단점이 있으니, 결론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