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트랜스 프리엠프의 장점

by tgkang posted Feb 07,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프리엠프에 트랜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장점은 트랜스 한개로 여러 부품들로 구성되는
하나의 회로를 대체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진공관, +B전원, 히타전원, 각종 저항과 콘덴서들로 구성된 복잡한 회로(전압증폭, 임피던스 메칭,
위상 반전, 드라이브, 발런스 회로 등)를 한 개의 트랜스로 간단히 대체 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부품들로 구성된 일반적인 회로는 각 구성 부품들의 단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회로에
단점이 부각되어 나타날 확률이 많아지고,
회로작동에 필요한 +B전원, 히타전원 등도 회로에 간섭하여 잡음과 같은 악영향을 줍니다.
그러나 간단한 구성의 트랜스 회로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고, 트랜스의1,2차 권선비를 이용하여
전압증폭/감쇄회로를, 1,2차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메칭회로를, 권선의 극성을 바꾸어 위상 반전 회로 등을
간단히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트랜스 회로에는 악영향을 주는 다른 부품들이 없으므로, 회로의 용도에 적합한 트랜스만 잘 선택하면
간단한 회로로 성능이 우수한 프리엠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MC카트리지의 미약한 신호를 전압증폭하기 위해서 헤드엠프나 승압 트랜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헤드엠프는 보통 3단 증폭의 TR이나 진공관 회로로 제작 되는데 유명 메이커의 값비싼 것이라도 보통수준의
승압 트랜스 성능을 못 따라 옵니다.
그 이유는 위에 나타나 있습니다.

트랜스 회로의 단점은 특성이 좋은 트랜스는 만들기 까다롭고 그 값이 비싸고, 필요한 회로에 트랜스를 적절히
구사하기 위해서는 회로 전단 및 후단부의 임피던스 총합 정도는 계산 할 수 있는 전자회로에 대한 기본지식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우리 아마추어 자작파들이 회로를 선택할 때는 잘 알려진 유명회로를 그대로 따르거나, 약간 변형하는
정도에서 사용하므로 이 기본회로에 적용된 트랜스의 사양(1차/2차 권선비,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 등)을
그대로 따르면 회로 설계치와 대체로 일치 하므로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이 유명회로는 왜? 이 부분에 트랜스를 적용했을까 하는 그 이유를 찾아본다면 고급 회로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