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질문

[e] e u 2 DAC

by 김정식 posted Jan 26,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혹시 메뉴얼 가지고 계신분 있으시면 sos !
>DAC 앞면 판넬의 status 부분에 DEE, LOC, SCMS 라는 3가지의 기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설명을 좀 부탁드려요. 그리고 메뉴얼 카피본 주시면 더욱 고맙겠습니다.
-------------------
SCMS는 복사물 방지에 관한 DVD 규약 중 하나더군요.

매뉴얼은 아무리 찾아봐도 구할 길이 없습니다. 매우 답답하고 갑갑함을 느낍니다.도울수 없음도 그렇고 인터넷상에 정보가 이렇게 없는 기기인지 실망해서..

일전에는 도움이 좀 되어드릴까 싶어 micromega duo pro2 라는 키워드를 사용해서 자료를 찾던 중에 하도 쓸만한 자료가 나오질 않아서 포기할까 말까 하던 차에 pro2 매뉴얼이라고 씌여진(사실은 악의적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몰래 덧씌워진) 파일을 찾아내서 반가운 마음에 클릭을 시켰는데 이놈속에서 악성코드가 나와서 컴퓨터를 윈도우즈를 맨처음 깔았을 때의 상태로 거꾸로 되돌려 놓은 겁니다. 윈도우즈 설치 후 지금까지 깔은 응용프로그램들이 무용지물이 되서 모두 다시 깔았고.. 아웃룩 익스프레스 메일도 모두 날아가고.. 맘고생하며 겨우 건질 것만 건졌지요.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에고.. 다시는 겪고 싶지 않네요..
아래는 SCMS가 적용되는 DVD 관련 이야기를 스크랩 해본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이 글 읽으면서 원본 CD를 복사하실적에 체크하셨을 옵션 설정을 재확인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끼게 되더군요. DVD 오디오 모드에서 필요한 설정을 셋 하신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1.11] 복사 방지에 관한 문제들
전체 DVD 계열에 대한 보안 및 접근방법 통제에 대한 전반적인 체계는 CPSA(content protection system architecture)라고 불립니다. 이 체계는 Copy Protection Technical Working Group(CPTWG)의 협력하에 "4C" entity (Intel, IBM, Matsushita, Toshiba)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암호화, 워터마킹, 아나로그 및 디지털 출력물에 대한 보호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DVD에 적용되는 내용물 보호에 대한 많은 규칙들이 있습니다.

1) Analog CPS(매크로비젼, Macrovision)
비디오 테입(아나로그) 복사는 모든 플레이어에서 Macrovision 7.0 이나 비슷한 회로(Circuit)에 의해 방지됩니다. Macrovision은 색띠, 화면왜곡, 롤링, 흑백 화면, 명암 순환 같은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Macrovision은 대부분의 TV/VCR 콤보 제품들 (3.2.1 참조)에서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또한, 라인 더블러(line doubler)나 프로젝터 등과 같은 최고급품 들에서도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아나로그 복사 방지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는 APS (Analog Protection System)이며 가끔씩 복제방지(copyguard)라 불리기도 합니다. Composite 나 S-video (Y/C) 출력단자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 비디오 카드 또한 반드시 APS를 사용해야 합니다. 매크로비젼은 composite 비디오와 s-video 출력을 다음의 두가지 방법으로 변환합니다: 색띠(colorstripe) 기술은 급격하게 변조된 색상(rapidly modulated colorburst)을 화상신호에 추가하는 것이고, AGC 기술은 화상의 수직 시그널에 펄스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95%의 이상의 VCR에서 싱크로나이제이션과 자동 기록 회로(automatic-recording-level circuitry)를 혼란시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것은 오래 전에 생산된 제품이거나 비표준 장비에서는 화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Macrovision은 초창기 플레이어의 anlaog component 비디오 출력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출시되는 거의 모든 모델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Component 신호에는 Burst가 없기 때문에 AGC만 나타납니다.)

디스크에 포함된 "Trigger bits"가 매크로비젼 AGC를 촉발할지를 플레이어에 알려주며, 이 매크로비전 AGC는 2줄 혹은 4줄의 colorstripe를 선택하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트리거는 1초에 두 번 꼴로 발생하기 때문에 비디오의 어느 부분을 보호할 것인가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의 제작자는 복사방지될 분량을 결정하고 이에따라 Macrovision 로열티를 지불합니다(디스크당 몇 센트 정도). 비디오 테입과 마찬가지로 어떤 DVD는 Macrovision 방지가 되어있고, 어떤 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Macrovision에 대한 사항은 STMicroelectronics 의 NTSC/PAL 비디오 인코더 데이터쉬트를 참조하십시요. www.st.com/stonline/books)

좀더 저렴한 기술들이 매크로비젼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몇개 기술만이 최근의 colorstripe 기능보다 뛰어난 기능을 보여줍니다. 이들은 Video Clarifier, Image Stabilizer, Color Corrector, DVD Red, CopyMaster 등의 이름으로 불립니다. 아니면 당신이 스스로 그런 기능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어떤 DVD 플레이어에서는 매크로비젼을 끄도록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6.4.2 참조). 전문적인 time-base corrector(TBS)는 21번째 주사선을 변경할 수 있고, 이로인해 매크로비젼을 없앨 수 있습니다. APS는 화상에면 영향을 주고, 음향은 변경시키지 않습니다.

2) CGMS
각각의 디스크는 그 내용이 복사될 수 있게 허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복사를 막거나 복사판의 복사를 막는 "serial" 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SCMS) 입니다. CGMS 정보는 비디오 출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CGMS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복사 장비가 CGMS를 반영하고 인식해야 합니다. 아나로그 표준(CGMS-A)은 데이터를 NTSC의 21번째 라인(XDS 서비스시) 혹은 20번째 라인에 인코드합니다. CGMS-A는 대부분의 디지털 캠코더와 몇몇 컴퓨터 비디오 캡쳐 카드에 적용되어 있습니다("복제불가" 등의 메시지를 보여줄 것입니다). 전문 time-based corrector(professional time-based corrector)들이 아나로그 신호 20번, 21번 라인의 CGMS-A 정보를 삭제하고 재생합니다. 디지털 표준(CGMS-D)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IEEE 1394/FireWire 같은 디지털 커넥션에 적용될 것입니다. 아래 제6장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Content Scramble System (CSS)
완벽한 디지털 복사의 가능성 때문에 신경쇠약에 걸려 있는 영화 스튜디오들은 DVD-Video 표준에 더 심도 있은 복사 방지책을 요구했습니다. Content Scramble System(CSS)은 디스크로부터 직접 미디어 파일을 복제하는 것을 막기 위한 데이터 암호화 및 인증 체계입니다. CSS는 Matsushita와 Toshiba에 의해 주도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CSS 플레이어 인증을 받는 업체는 모든 CSS 암호화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408개의 키 마스터 세트로부터 하나의 키(Key)를 부여받습니다. 나중에 라이센스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향후 발매되는 디스트에서 그 키를 제거하면 됩니다. CSS의 암호해독 알고리듬은 드라이브 유닛과 키를 교환하여 암호 키를 생성하며, 이 키는 후에 디스크의 키와 데이터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타이틀 키의 교환을 교란시키는데 사용됩니다. DVD 플레이어는 데이터가 디코드되고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이를 해독하는 CSS 회로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디코더는 CSS 해독 모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모든 DVD-ROM 드라이브는 컴퓨터에 있는 CSS 모듈과 해독 키를 교환할 수 있는 추가적인 펌웨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2000년부터 생산되는 모든 DVD-ROM 드라이브는 CSS와 함께 지역코드 설정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1.10과 4.1 참조) DVD-Video를 재생하는 모든 기기(드라이브, 디코더 칩, 디코더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 어댑터 등)는 반드시 CSS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CSS 인증을 위해서 부과되는 돈은 없지만, 장기간의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관심있는 업체는 최대한 빨리 신청해야 합니다. CSS는 DVD Copy Control Association (DVD CCA)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1997년 말에는 소프트 디코더에도 CSS 인증이 허가되었습니다. CSS 인증은 CSS 알고리듬과 키의 비밀을 지키기 위해 극도로 제한적입니다만, 이미 수백만대의 플레이어와 DVD-ROM 드라이브가 보급된 상황에서 이 비밀이 오래 지켜지지는 못할 것입니다. 1999년 10월에는 CSS 알고리듬이 크랙되어 인터넷에 올려졌고, 끝없는 법정 공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4.8 참조)

4) Content Protection for Prerecorded Media (CPPM)
CPPM은 DVD-Audio에만 사용되며, CSS를 발전시킬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키값은 lead-in area에 저장되어 있으나, 섹터 헤더에는 타이틀 키값이 없습니다. 각각의 디스크는 CSS의 디스크 키와 비슷한 56비트의 "앨범 식별자(album identifier)"를 통제구역(control area)에 가지고 있습니다. 디스크의 빈 공간에 하나의 파일이 있고 여기에 미디어 키 영역(media key block)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미디어 키 영역의 데이터는 논리적인 행과 열로 구성되어 있고, 특정한 플레이어 키(디바이스 키(device key)라고도 불림)에서 암호해독 키를 생성하는 인증 과정에 사용됩니다. 만일 이 디바이스 키가 취소되면, 미디어 키 영역을 처리하는 과정은 적합하지 않은 키값을 가졌다고 처리하고 끝내게 됩니다. CSS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 키의 사용을 취소하기 위해 미디어 키 영역도 수정이 가능합니다. 승인 매카니즘은 CSS와 동일하기 때문에, 지금의 드라이브들에 대한 변경은 필요없습니다. 하이브리드 DVD-Video/DVD-Audio 디스크는 CSS와 CPPM 컨텐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습니다.

5) 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CPRM)
CPRM은 레코딩과 이것이 기록되는 미디어를 묶는 매커니즘입니다. 이것은 1999년 이후 출시된 모든 DVD 레코더에서 지원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공 recordable DVD는 BCA(3.11 참조)에 각인된 64 비트의 고유 디스크 ID를 가지고 있습니다. 복제 방지된 내용물이 디스크에 기록될 때에는 디스크 ID로부터 추출된 56비트 C2(Cryptomeria) 암호를 이용하여 '암호화'됩니다. 디스크 ID는 재생 중에 BCA로부터 읽히고 디스크 내용물의 암호를 푸는 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됩니다. 만약, 디스크의 내용물을 다른 매개체로 복사한다면, ID는 일치하지 않거나 없을 것이며, 결국 디스크 내용물의 암호는 풀리지 않을 것입니다

6) Digital Copy Protection System (DCPS)
완벽한 디지털 복사를 허용하지 않고 관련 기기 사이에 디지털 커넥션을 제공하기위해, 5개의 디지털 복사 방지 시스템이 CEA에 제출되었습니다. 첫번째 주자는 IEEE 1394/FireWire에 촛점을 맞추었으나 다른 프로토콜에도 적용될 수 있눈 DTCP (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입니다. 1998년 2월에 초안(5C라고 불리는데 5개의 company가 참여한데서 유래합니다.) 이 Intel, Sony, Hitachi, Matsushita, Toshiba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Sony는 1999년 중반 CTCP 칩을 발표했습니다. DTCP에서는 DVD 플레이어와 디지털 TV 혹은 디지털 VCR과같이 디지털 방식으로 연결되는 장비는 보안 채널을 확보하기 위해 키와 인증을 교환합니다. DVD 플레이어는 암호를 해독할 장비로 보내는 인코드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암호화합니다. 이것은 인증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장비가 내용물을 복제하는 것을 막습니다. 복제 방지가 필요없는 내용물의 암호화는 필요가 없습니다. 보안은 새로운 내용물(새 디스크나 방송)에 의해 갱신되며, 업데이트된 키와 거부 리스트(인증되지 않았거나 손상된 장비를 구별하기 위한)에 의해서도 갱신됩니다. Zenith와 Thomson으로부터 제안된 XCA(extended conditional access)는 DTCP와 비슷하지만 단방향 디지털 인터페이스(EIA 762 RF remodulator standard 같은) 로 동작하고 갱신 가능한 보안을 위해 스마트 카드를 사용합니다. 다른 제안들은 MRJ Technology, NDS, Philips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5개의 모든 제안들에는 CGMS 스타일의 표식인 "복사 가능(copy freely)", "1회 복사 가능(copy once)", "복사 불가(don't copy)" 그리고 가끔씩 "더이상 복사 안됨(no more copies)" 등이 내용물에 표기됩니다. 오디오와 비디오의 재생만이 가능한 디지털 장비는 (재생 전용 장비라는 것을 인증할 수 있다면) 모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디지털 레코딩 장비는 단지 copyable로 표기된 데이터만 수신할수 있고, 만약 소스상태가 "copy once"로 표기되어 있다면 "don't copy" 나 "no more copies"상태로 표시를 변경해야 합니다. DCPS는 차세대 디지털 TV, 디지털 리시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위해 디자인 되었습니다. 이것은 (DV 기기와 같은) 디지털 커넥터가 장착된 새로운 DVD 플레이어를 필요로 합니다. 이런 새로운 제품들이 2003년부터 출시되기 시작했습니다. 암호화는 플레이어에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재의 디스크 포맷 방식은 바꿀 필요가 없습니다.

7)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HDCP)
HDCP는 DTCP와 비슷하지만 DVI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모니터 인터페이스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1998년에 아나로그 VGA 연결 표준을 대신하여 컴퓨터와 디스플레이간의 인터페이스 표준을 만들기 위해 Digital Display Working Group(DDWG)가 구성되었습니다. 그 결과 1999년 4월 Digital Visual Interface(DVI) 명세서가 발표되었으며, 이는 모든 HDTV의 해상도를 지원 가능한 4.95 Gbps의 1600 X 1200 (UXGA) 해상도를 지원하는 Silicon Image의 PanelLink 기술을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Intel은 DVI를 위한 보안 콤포넌트를 제안하였으며, 이것이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HDCP) 입니다. DVI와 HDCP를 결합한 HDMI라는 새로운 표준이 있습니다. DVI나 HDMI 디지털 영상 출력을 지원하는 DVD 플레이어들이 2003년 봄부터 출시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새로운 HDTV는 IEEE 1394와 HDMI 연결방식 모두를 사용할 것입니다.

HDCP는 인증, 암호화, 인증 폐기를 지원합니다. 재생장비와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있는 특정한 회로는 비디오 데이터가 다른 장비로 보내지기 전에 비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연결된 모니터가 HDCP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HDMI 출력신호가 감지하면 복제 방지된 내용물의 화질을 나쁘게 만듭니다. HDCP 키 교환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받는 장비가 비디오를 표시하거나 녹화할 수 있도록 인증된 것인지를 확인합니다. 이를위해 40개의 56비트 비밀 키(secret device key) 배열과 40비트 키 선택 벡터(key selection vector)가 사용되며, 이들 모두는 HDCP 인증업체에서 공급됩니다. 만일 디스플레이 장비의 보안장치가 손상되면, 그 키 선택 벡터는 폐기 리스트에 오르게 됩니다. 호스트 장비가 폐기리스트를 관리하며, 이 리스트는 새로운 장비나 비디오 신호등에 의해 전달된 갱신 메시지(system renewability message, SRM)에 의해 갱신됩니다. 신호를 받는 장비에 대한 인증 절차를 마치면 인증 과정에서 교환된 키를 통해 생성된 암호화된 스트림에 의해 비디오 신호는 배타적 논리합 연산(exclusive-or operation)으로 암호화 됩니다. 만일 암호 해독 능력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비가 암호화된 내용물을 표시하기 위한 시도를 하려 한다면 단지 무의미한 노이즈 신호만 보여지게 됩니다.



앞의 4가지 형태의 복사 방지법(매크로비젼, CGMS, CSS, CPPM)은 디스크 제작자의 선택 사항입니다. CSS는 또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재생 기기 제조업체의 선택 사항입니다만, 암호 해독 기능이 없는 플레이어나 컴퓨터는 암호화되지 않은 영화만 재생할 수 있습니다. CPRM은 DVD 레코더에 의해 자동적으로 처리됩니다만, 선택 사항일 뿐이고 많은 레코더들은 그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DCPS와 HDCP는 디지털 영상 출력을 지원하는 플레이어에 의해 수행됩니다.

이런 복제 방지법들은 우발적이거나 호기심에 의한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영화사의 주장으로는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초래한다고 합니다.) 결국 최종적인 목표는 "keep the honest people honest" 즉, 정직한 소비자들을 보호하자는 것입니다. 복사 방지법을 개발한 사람들도 첨단 기기를 동원한 불법 복제를 멈출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영화 스튜디오들은 DVD 복제 방지법을 깨는 것을 불법으로 지정하는 것을 원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물에는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WIPO) Copyright Treaty와 WIPO Performances and Phonograms Treaty (1996년 12월)와 1998년 10월에 제정된 미국의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DMCA)가 있습니다. 현재 DVD의 복제 방지법을 피해가는 소프트웨어들은 미국과 다른 많은 나라에서 불법입니다. 복사 방지 위원회의 법률 그룹 공동의장은 "비디오에 관한 법률에서, 합리적이고 개인적인 복사는 허용하는 법률뿐만 아니라 이를 어길시에는 벌칙을 부여하는 법률까지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라고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플레이어에 혹은 스튜디오에 따라서 어떻게 모든 디스크에 이를 구별하는 표식을 설정해 개인적인 복사를 허용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습니다.

DVD-ROM 업그레이드 키트를 포함해서, DVD-ROM 드라이브와 컴퓨터는 매크로비젼, CGMS, CSS를 지원해야 합니다. TV 출력기능을 내장한 PC 비디오 카드가 매크로비젼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암호화된 타이틀을 재생할 수 없습니다. IEEE 1394/FireWire 커넥션을 지원하는 컴퓨터는 다른 DCPS 장비와 연결하기 위해 최신 DCPS 표준을 지원해야합니다. CSS가 DVD-Video 컨텐트에서만 사용되더라도 컴퓨터의 디코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와의 보안 연결을 위해 CSS 회로를 포함해야합니다. 물론, DVD-ROM 어떤 형태의 컴퓨터 데이터도 포함할수 있기 때문에 다른 암호화 형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DVD-ROM 드라이브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4.1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opy Protection Technical Working Group(CPTWG)의 The Watermarking Review Panel(WaRP) - 이 패널의 전신은 Data-Hiding Sub-Group(DHSG)임 - 은 DVD-Audio (1.12 참조)에 대해 DVD 포럼에서 인정한 오디오 워터마킹을 선택하였습니다. 원래 7종류였던 제안은 현재 3가지(IBM/NEC, Hitachi/Pioneer/Sony, Macrovision/Digimarc/Philips)로 통합되었습니다. 1999년 2월 17일 첫 번째 두 그룹은 "Galaxy Group"이라는 이름으로 연합하여 하나의 제안으로 그들의 기술을 통합하였습니다. 두 번째 그룹은 그들의 기술을 "밀레니엄"이라 불렀습니다. 워터마킹은 각각의 디지털 오디오나 비디오 프레임에 사람의 눈이나 귀로 인식할 수 없다고 생각되는 노이즈를 첨가하는 것입니다. 워터마크 표식은 신호가 디지털 혹은 아나로그 연결을 통해 전달되거나 비디오 프로세싱을 하려 할 때에도 재생 및 레코딩 장비가 복제를 막을 수 있게 인식이 가능합니다. 워터마킹은 암호와 체계라기 보다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일부 복사본이 재생 가능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새로 출시되는 플레이어와 다른 관련 장비들은 워터마킹을 지원해야 합니다. 하지만, DVD 포럼은 워터마킹된 디스크가 기존의 플레이어와 호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Divx에서 사용된 워터마킹 기술은 "비내림 현상(Raindrop)" 이나 "총탄 현상(Gunshot)"과 같은 눈에 보이는 패턴을 야기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 문제는 후에 발표된 새로운 버전에서는 해결된 듯 합니다.

[1.12] DVD에 담은 음악은 어떻습니까? DVD-Audio와 SACD는 무엇입니까?
주의: DVD-Audio와 DVD-Music을 혼동하시 마십시요(1.12.1 참조).

비록 DVD-Video의 오디오 능력이 CD를 능가함에도 불구하고 DVD가 1996년 처음 나왔을때 DVD-Audio 규격이 없었습니다. DVD 포럼에서는 DVD-Audio 규격을 결정하기 전에 음악산업 쪽에서 추가적인 투자를 해주길 원했습니다. 규격표준의 초안이 1998년 1월에 DVD 포럼그룹4(WG4) 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버젼 0.9가 7월에 발표되었숩니다. 최종적인 DVD-Audio 1.0 세부안(복사방지는 제외한)이 1999년 2월에 인증받았으며 3월에 발표되었습니다.그러나 제품은 복사방지 방법(암호화와 워터마킹)을 선택하는 과정이 느리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지연되었습니다. 이런 골치아픈 문제는 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SDMI)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계획되었던 1999년 10월 출시는 2000년 중순까지 더더욱 지연되었습니다. 표면상으론 CSS크랙(4.8 참조) 때문에 제기된 문제가 원인이었지만 하드웨어도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고, 제작 도구들도 부족했으며 레코드 제작사들의 지원도 확실하지 않았습니다. Pioneer에서는 1999년 말쯤에 일본에서 DVD-Audio 플레이어를 출시했으나 복사방지된 디스크는 재생할 수 없었습니다.

2000년 7월 Matsushita는 Panasonic과 Technics 브랜드로 DVD-Audio/DVD-Video 모두 재생 가능한 유니버설 플레이어를 700달러에서 1,200달러에 출시하였습니다. 2000년 가을과 2001년 초에 Pioneer, JVC, Yamaha와 그 외 다른 제작사들이 DVD-Audio 플레이어를 출시하였습니다. 2000년 말까지 약 50개의 DVD-Audio 타이틀이 출시되었고, 2001년 말에는 약 200개가 안되게 출시되었습니다.

DVD-Audio는 DVD-Video와는 완전히 다른 별도의 형식입니다. DVD-Audio 디스크는 DVD-Video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DVD-Audio 디스크가 모든 DVD-Video 플레이어에서 재생될 수 없도록 제작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DVD-Audio 규격에서는 새로운 형식이나 기능들이 포함되는데, 이런 것들은 DVD-Video 플레이어가 전혀 사용하지 않는 디스크상의 별도의 "DVD-Audio 영역 (DVD-Audio zone)"(the AUDIO_TS directory)에 저장되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DVD-Audio 플레이어가 필요하게 되던지 DVD-Video와 DVD-Audio 디스크를 모두 재생할 수 있는 "유니버설 플레이어"가 필요합니다. 유니버설 플레이어는 VCAP(video-capable audio player)라고도 부릅니다.

제작자들에게 호소: 유니버설 플레이어는 거의 찾기가 힘듭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당장이라도 유니버설 디스크는 제작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노력으로도 모든 DVD-Audio 디스크는 DVD-Audio 영역(DVD-Video zone) 안에 돌비 디지털 버전을 포함함으로써 모든 DVD 플레이어에서 작동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DVD-Audio authoring 시스템 개발자에게 호소: 여러분의 소프트웨어들을 기본적으로 이렇게 만들거나 또는 authoring 동안에 이것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만들도록 강력하게 추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DVD-Audio (그리고 유니버설) 플레이어는 현재 출시된 리시버와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리시버는 PCM 과 돌비 디지털을 출력하며 어떤 것은 선택적으로 DTS나 DSD 규격을 지원합니다. 그렇지만 현재 대부분의 리시버는 고선명도(high-definition), 멀티채널 PCM 오디오를 디코딩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3.6.1 참조) 비록 할 수 있다하더라도 표준 디지털 오디오로는 연결되지 않습니다. DVD-Audio 플레이어에 고성능 디지털 아나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신호를 아나로그로 변환하는 변환장치-역자 주)가 장착되어 있다면 이 플레이어는 단지 2채널 또는 6채널 아나로그 입력단자를 갖춘 리시버에만 연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리시버가 시그널 처리를 위해 다시 디지털로 변환한다면 약간의 품질 저하가 발생합니다. DVD-Audio가 가진 모든 디지털 신호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IEEE 1394(FireWire)와 같이 개선된 디지털 연결을 지원하는 새로운 리시버가 필요합니다.

DVD-Audio는 embedded signaling 혹은 digital watermark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저작권을 보호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지만, 기기에 의해서는 판독되는 디지털 서명과 선택적인 암호화 키(encryption key)를 음향에 추가하여 새로운 장치가 복제된 음향을 알아차리고 재생하지 못하도록 하는 signal processing 기술을 사용합니다. 메이저 음반 회사들은 4C Entity인 IBM, Intel, Matsushita, Toshiba와 함께 Aris, Blue Spike, Cognicity, IBM, Solana로부터의 제안을 평가하였습니다. ArIs와 Solana는 합병하여 Verance라는 회사를 만들었고, 그들의 Galaxy기술이 1999년 8월 DVD-Audio용으로 채택되었습니다. (1999년 11월 Verance의 watermarking 또한 SDMI용으로 채택되었습니다.) Verance와 4C는 Verance watermarking 방법에 대한 테스트에서 watermarking에 사용되는 소리는 들을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주장하였으나, 황금귀를 가진 음악 애호가들은 이후의 테스트에서 watermarking 잡음을 판별할 수 있었습니다.

Sony 와 Philips는 DVD 디스크를 사용하지만 DVD-Audio 포맷과는 경쟁적인 관계에 있는 Super Audio CD format을 개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3.6.1 참조) Sony는 SACD 세부안 버전 0.9를 1998년 4월에 발표하였고, 최종 버전은 1999년 4월(?)에 나왔습니다. SACD 기술은 현재 소니/필립스 CD 제작인가를 받은 곳에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발매된 대부분의 SACD들은 멀티채널이 아닌 스테레오로 제작되었습니다. 1999년 말 일본에서 처음으로 DVD-Audio 플레이어를 출시했던 Pioneer는 그들의 DVD-Audio 플레이어에 SACD를 지원하도록 포함하였습니다. 만약 다른 제작자들이 이런 정책을 지지한다면, SACD 대 DVD-Audio 표준에 관한 논쟁은 토론의 여지가 있을것입니다. 왜냐하면 DVD-Audio 플레이어는 두가지 타입을 모두 지원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SACD는 원래 복층(two layer) 구조를 가진 "legacy" 디스크로 공급하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이것은 현재의 CD 플레이어에서 재생 가능한 층(layer)과 DVD-Audio 플레이어용 고밀도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기술적인 어려움때문에 듀얼 포맷 디스크는 2000년 말까지 제작되지 못했고, 그 이후에도 아주 소량만 제작되었습니다. 1999년 말에 처음으로 DVD-Audio 플레이어를 일본에 시판한 Pioneer는 그들의 DVD-Audio 플레이어에서 SACD가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만일 다른 생산자들이 이런 선례를 따라 DVD-Audio 플레이어가 두 종류의 디스크 모두를 재생할 수 있게 생산한다면 SACD와 DVD-Audio 표준 관련 논쟁은 필요가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Sony는 1999년 5월 일본에서 SACD 플레이어를 $5,000라는 눈물나게 높은 가격에 출시했습니다. 그 플레이어는 1999년 말 미국에서 한정수량으로 출시되었습니다. Philips는 2000년 5월에 $7,500에 플레이어를 출시하였습니다. Sony는 2000년 중반에 일본에서 $750에 SACD 플레이어를 출시하였습니다. 1999년 말까지 DMP, Mobile Fidelity Labs, Pioneer, Sony, Telarc 등의 스튜디오는 약 40종의 SACD 타이틀을 발매하였습니다. 2001년 말에는 500종이 넘는 SACD 타이틀이 발매되었습니다.

DVD-Audio와 SACD 플레이어 관련 취약점은 아나로그 입력을 받는 6채널 오디오 리시버들 대부분이 저음 처리가 안된다는 것입니다. 돌비 디지털과 DTS 디코더를 내장한 리시버들은 내부적으로 저음처리를 하지만, 6채널 오디오 입력을 받는 대부분의 리시버들은 입력 신호를 그냥 앰프로 보내버립니다. 6채널 입력 신호 모두의 저음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오디오 시스템이 개발될 때 까지는 5개 서라운드 채널 모두에 full-range 스피커(저음 재생이 가능한 스피커-역자 주)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전체 저음부 모두를 정확히 재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만일 DVD-Audio나 SACD 플레이어를 최대한 즐기고 싶다면, 아나로그 입력을 받아 저음 처리를 할 수 있는 리시버가 없는 상태에서는, 6채널 아나로그 오디오 입력을 받는 리시버와 5개의 full-frequency 스피커(서브우퍼 주파수대를 처리할 수 있는 스피커), 그리고 서브우퍼가 필요합니다. 임시로 Outlaw Audio 등에서 구매할 수 있는 외장형 저음 처리장치(outboard bass managment box)를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DVD-Audio와 타이틀 리스트, 플레이어의 모델 등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Digital Audio Guide를 보시기 바랍니다.

[1.12.1] DVD-Audio 디스크와 DVD-Music 디스크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DVD-Music은 사실 공식적인 DVD 형식은 아닙니다만, 음악을 주로 담고 있는 DVD-Video 디스크를 흔히 그렇게 부릅니다. DVD-Music 디스크는 모든 표준형 DVD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며, 음악이 나오는 동안 비디오나 스틸사진들이 함께 재생됩니다. 1.12에 설명된 것과 같이, DVD-Audio 디스크는 DVD-Audio 플레이어에서만 재생이 가능한 특별한 hi-fi 오디오 트랙을 사용합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