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제

좋은 프리앰프의 조건

by 서병익 posted Jan 26,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라우드네스네스 콘트롤에 대하여...

이 기능에 대하여 잘 아시는분도 많으리라 생각되지만 한편으로는 스위치에 의한 라우드네스 콘트롤을 연상하시는분이 더 많으실 것 같아 조금 더 자세히 말씀올리겠습니다.

플레처와 먼슨은 사람의 귀가 음량이 작아질 수록 저역과 고역을 잘 듣지 못하는 정도를 연구하여 그래프로 만들어 발표하였고 그 특성곡선을 플레처먼슨커어브라하였습니다. 오디오업계는 이것을 근거로 음량이 작아질 수록 고역과 저억을 보정할 수 있는 콘트롤을 만들었는데  이 기능의 효과는 대단하여 요즘 버튼하나로 보정하는 라우드네스와는 근본부터 달랐습니다.

그리고 이 기능은 웬만한 프리앰프는 엄두도 못내는 그야 말로 고급기능 중에 하나로 각광받던기능이였습니다.

여러가지 회로방식중 음량이 작아질 수 록 저역과 고역을 상승시켜 보정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 경우는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감쇠 시켜놓았다가 볼륨조정에 의해 고역과 저역을 감쇠의 정도를 변화시켜 보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부스트량을 고려하여 대략 1/40로 입력신호를 감쇠시킵니다. CR감쇠형의 톤 콘트롤  1/10정도의 감쇠와 비교하면 엄청난 량의 감쇠가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저역에서의 부스트량을 고려하여 이렇게 되는 것이며 최대 25dB정도의 상승효과로 플레처먼슨커어브에 근접하는 효과가 나옵니다.

그러나 이렇게 회로를 구성할 경우 감쇠되는 정도를 보상할 증폭기가 필요하며 별도의 증폭단이 필요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회로가 마란츠콘솔릿에 실장된회로인데 79년말 우연히 이 회로를 검토하다가 그 절묘한 동작원리에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 독창적인 동작원리와 우수한 라우드네스효과는 이 시대 최고의 회로입니다...  

그 후 나름대로 이 회로의 결점이 발견되어 보완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지금도 제가 제작하는 라우드네스콘트롤의 원형은  마란츠콘솔릿에 실장되었던회로를 근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매퀸토시에서도 독립적인 라우드네스콘트롤기능을 실장한 프리앰프가 있었으나 모델명은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그 후 간단하게 만든 라우드네스기능이 저렴한 메이커앰프에 장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리는 볼륨에 별도의  중간탭을 만들고 거기에 콘덴서1개(또는 2개)와 저항1개로 구성한 회로였습니다.
이 기능도 볼륨을 줄이면 저역과 고역이 상승합니다만,  중역에 비하여 부족해지는 고역과 저역을 보정한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설계해 놓은 주파수대가 감쇠 또는 상승되는 원리에 지나지 않아 저역이 지나치어 부자연스럽다고 느껴도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또 하나의 방법은 라우드네스콘트롤 볼륨을 줄이면 중역대가 감쇠하도록 하고 저역과 고역은 거의 그대로 유지하여 상대적으로 저역과 고역을 강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손실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메이커에서 채택한 경우는 보지못하였습니다.  




**. 톤 콘트롤 기능에 대하여...

톤 콘트롤은 회로적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음색적효과도 매우 다르게 나옵니다.

CR감쇠형 톤 콘트롤은 입력되는 신호를 1/10로 미리 감쇠시킨 후 감쇠의 정도를 변화시켜 고역과 저역을 가감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감쇠분을 보상하며 S/N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단에 증폭기를 설치하여야하며 충분히 높은 입력임피던스와 낮은 출력임피던스가 필요한데 이 부분이 최종적인 성능에 크게 작용합니다.  

부궤환형은 부궤환에 의한 특성향상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부궤환량을 가감하여 음색을 조정하는 이 방법은 BAX형이 유명하지만 플랫위치에서 고역특성이 위쪽으로 갈 수록 저하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결점을 개선한 LUX형이 있는데 이 방식은 기본적인 결점을 보완한 LUX의 특허회로입니다. 하지만 발표한지 50년도 더 지나 마음대로 쓸 수 있는 회로이기도 합니다.    

LUX회로는 우수한 특성으로 기계적중점일때 전기적으로 플랫하여 별도의 톤디피드회로를 필요로 하지않습니다.

그리고 부궤환형 톤 콘트롤의 장점은 출력임피던스가 낮으므로 별도의 버퍼단이 필요없습니다.

그동안 몇 차례로 나누어 프리앰프에서 필요한 기능에 대하여 검토하였습니다.



저의 글을 보시고 싸이트에 댓글 형식으로 의견을 주신분,  메일로 의견을 주신분, 그리고 전화로 의견을 주신 모든 분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보면 도저히 하나로 취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해 봅니다.


제안1.) 기본형
특징...   1M옴의 입력임피던스와 낮은 출력임피던스의 이상적인 구조의 프리앰프로서 별도의 부가기능은 생략한 근래의 프리앰프와 같은 형식의 앰프입니다.

이득은 10~15배 정도로 무궤환앰프의 유려한 음질이 장점으로서 그동안 마란츠형 라인앰프를 즐겨들으시던 분이 청취 후 충격이라고 말할 정도로 진공관앰프다운 음색입니다.

구성: 릴레이를 사용한 입력셀렉타, 밸런스콘트롤, 볼륨콘트롤


제안2.)  라우드네스콘트롤형
특징.....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라우드네스콘트롤을 실장한 프리앰프로 주로 아파트에 거주하시는 분이나 저녁늦게 조용히 음악을 즐기시는 경우 청감상 부족하기 쉬운 고역과 저역을 보정하여 청감상 대역밸런스를 평탄하게 하여 주는 기능입니다..
라우드네스콘트롤을 최저로 하면 주파수특성은 평탄하여 일반 플랫앰프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됩니다.

구성: 마란츠콘솔릿에 실장되었던 라우드네스 콘트롤을 개선한 라우드네스회로,   릴레이를 사용한 입력셀렉타, 밸런스콘트롤, 볼륨콘트롤


제안3.)  톤 콘트롤형
특징.... LUX의 특허회로를 기본으로하는 부궤환형의 톤 콘트롤회로를 실장한앰프입니다. 청음공간이 언제나 이상적이 아니라는 것을 전제로 생각한다면 톤 콘트롤기능은 음악감상의 격을 높여드리리라 생각합니다..  

구성: 부궤환형의 톤 콘트롤 실장, 릴레이를 사용한 입력셀렉타, 밸런스콘트롤, 볼륨콘트롤


제안4.)  콘솔릿형
특징..... 라우드네스콘트롤과  톤 콘트롤 모두를 실장한 프리앰프로 더 이상의 기능은 필요없을 정도의 프리앰프입니다.  

구성:  독립형 라우드네스콘트롤, LUX의 부궤환형 톤 콘트롤, 릴레이를 사용한 입력셀렉타, 볼륨



위와 같은 구성으로 분류하여 보았는데 여러분의 의견은 어떻신지요......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