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닉 L-5 트랜스 프리앰프

by 사운드AV posted Oct 15,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올닉오디오 레퍼런스 L-5000SE 프리앰프 입니다.
트랜스 결합형 프리앰프로서 L-4000 후속으로 출시한 레퍼런스 프리앰프입니다.
중고제품로 처음 나오는 제품입니다.아름답고 유연하면서도 진정한 음악을 표현해주는
레퍼런스 프리앰프입니다.
양도가:1200 만원 이고 타사기기 절충 교환 가능합니다. 미국리테일가 19,000불입니다.
타사기기 절충 가능 합니다.
풀발란스 입출력 지원 합니다.
010-3534-0772 / 031-254-0772 입니다.

L-5000SE Line Preamplifier

◈ 중요한 특징들

⊙ 싱글 게인 Stage

   앰프의 신호부는 1개의 진공관으로 이루어진 1단 증폭 방식 입니다.
   증폭단 수 가 적을수록 왜율과 착색이 적어지며, 스피드와 다이나믹 레인지면에서
   유리 합니다.  한장의 유리창문을 통해서 바깥풍경을 볼 때 여러장의 유리창을
   통한 것 보다 더 뚜렷이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 트랜스 출력 방식

   진공관 앰프의 출력방식은 C-R방식과 트랜스 방식 2가지가 있습니다.  C-R방식은 전압
   결합 방식으로 비교적 안정적이고 저렴한 구성이 가능 합니다만 전력증폭을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트랜스 결합방식은 전압뿐 아니라 전력의 전달이 가능 하므로 파워 앰프를 강력하고 정
   확히 구동 시킬 수 있으며, 낮은 임피던스 출력이 가능 하므로 인터 커넥터의 선정 시
   보다 유리하며, 파워 앰프와 결합 시 노이즈 면에서 훨씬 장점이 많습니다.  
   단점으로는 출력 트랜스의 질에 따라 앰프의 성능이 좌우되며, 광대역 (15Hz ~ 50KHz정도
  까지) 하며 낮은 Distortion 및 정확한 방형파 (10KHz이상)를 재현하는 출력 트랜스의
  제작이 거의 불가능 하였습니다.

  올닉의 20여년에 가까운 트랜스 제작 기술은 상기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트랜스를
  제작하여 L - 5000SE의 출시가 가능 하였습니다.

⊙ 정 임피던스의 낮은 출력 임피던스

   L-5000SE의 출력 임피던스는 150Ω 입니다.  낮은 출력 임피던스 일수록 파워 앰프와의 결
   합 시 유리하나, 프리 앰프의 출력 디바이스(진공관 혹은 TR, IC)의 강력한 저 임피던스
   의 동작을 요구 합니다.
   L-5000SE의 출력 진공관은 대전류 A클래스의 동작을 하고 있으며, L - 5000SE의 150Ω 출력
  임피던스는 주파수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정 임피던스 타입으로 아래의 그림을 비교하여
  보면 다른 C-R결합 방식의 앰프보다 저음의 스피드와 단단함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습니다.




  
⊙ 초고속의 진공관식 정전압 회로 채용

   보다 정숙하고 다이나믹한 음의 재현에 정전압 회로의 채용은 고급 프리앰프에 있어서
   반드시 요구되는 조건입니다.  L-5000SE의 정전압 회로는 순수 진공관식으로, 좌우 양
   쪽에 듀얼 모노식으로 채용되어 있으며 진공관 특유의 초고속 타입입니다.
   이 정전압 회로는 외부의 가정전기(220V)의 어떠한 변화에도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며
   앰프 내부의 어떠한 급격한 전력 수요에도 안정적으로 대응 합니다.

⊙ TR 파워앰프 결합에도 유리한 뮤팅 회로

   프리앰프의 파워 스위치를 켠 다음 약 40초 동안 모든 신호를 차단하는 자동 뮤트
   회로를 채용 하였습니다.  TR앰프에 치명적인 저주파의 돌입전압(서지볼트)을 완벽히
   막아주며, 진공관이 예열된 후 동작하게 됩니다.

⊙ 상시 감시 체제의 전류메타 채용

   전면 페널에 장착된 전류메타는 전체 L-5000SE의 정상동작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바로메타
   와 같습니다.  항상 안정된 동작인지 확인 할 수 있으며 메타의 바늘이 지정된 지점에서
   벗어나 있으면 곧바로 이를 감지 할 수 있는 체제 입니다.

⊙ 새로운 진공관 댐핑기술의 채용

   특허 신청중인 당사의 압소젤 튜브댐퍼를 채용하여 진공관 앰프의 고질병이었던 마이크로
   포닉 노이즈를 완벽히 차단하여 보다 정숙하고 뚜렷한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고급 어테뉴에터에 리모콘을 장착 하였습니다.

   디지털 칩 볼륨이나 저가의 카본 박막 볼륨에 드라이버 모터를 장착하지 않고, 최고급 어테뉴에터에
   오일 클러치 모터를 장착하여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작 하였습니다.
   좌우채널 편차를 ±0dB에 가깝게 제작 가능한 것은 최고급 어테뉴에터 리모콘 때문에 가능 하였습니다.  

◈ 제  원

⊙ 입력단자 : Line5 계통 (밸런스 ×  2, 언밸런스 ×  3)

⊙ 입력 임피던스 : 언밸런스 10KΩ
                   밸런스 20KΩ  

⊙ PRE OUT 단자 : 언밸런스 1 계통
                     밸런스 1 계통

⊙ 주파수 특성 : 20Hz ~ 20KHz [FLAT]
                  16Hz ~ 75KHz [-3dB]

⊙ 전압이득 : +20 dB  

⊙ 왜 율 : 출력 0.3[V]일 때 0.06% [1KHz]
            출력   1[V]일 때 0.15%

⊙ 신호 대 잡음비 : -90dB 이하 [CCIR 1KHz]

⊙ 최고출력 : 15V RMS [찌그러지지 않음]

⊙ 출력 임피던스 : 150Ω (Constant)

⊙ 톤 콘트롤 : 없음

⊙ 밸런스 콘트롤 : 없음

⊙ 뮤 팅 : 있음

⊙ 사용 진공관 : E810F × 2
             7233 × 2,  6485 × 2 (Voltage Regulator)

⊙ 크 기 : 430mm(W) × 350mm(D) × 173mm(H)

⊙ 무 게 : 16.5Kg

⊙ 비 고 : 리모콘 부속

⊙ 전 원 : 220V / 60Hz / 42W 소비전력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