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기

AM-1065 유리디체

by 정호윤 posted Nov 30,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IPC의 유명한 4채널 프리앰프 AM-1065의 출력트랜스포머 FP-3428을 쓴 유리디체를 만들었습니다.
IMG_5647.jpg 

SOUND PRACTICES에 발표되었던 EURIDICE는 437A 혹은 3A/167M 이나
417A 혹은 5842를 트랜스포머 부하로 운용한 라인 프리앰프입니다.

이번 유리디체는 출력트랜스포머를 FP-3428로 바꿨던 헤드폰앰프 구성 유리디체를 가져가셨던 분이
같은 구성에서 라인프리앰프 전용으로 의뢰하셔서 작업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일곱번째 유리디체입니다.
IMG_5645.jpg

유리디체는 트랜스포머를 부하로 둔 단단 증폭회로 구성으로서 증폭관과 출력 트랜스포머의 상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유리디체의 증폭관으로 요구되는 성질은 적당한 증폭율, 낮은 내부저항, 높은 상호컨덕턴스입니다.
출력 트랜스포머는 증폭관에 의도한 전류를 흘렸을때 충분한 저역이 나올 수 있어야합니다.

증폭관을 선정하고 알맞는 출력 트랜스포머를 고르는것과, 출력 트랜스포머를 선정한 후 알맞는 증폭관을 고르는것은
각자 상황에 따라 다른 이야기이고, 이번 유리디체는 FP-3428에 알맞는 증폭관을 고르는 순서로 진행하였습니다.

FP-3428은 IPC의 4채널 프리앰프 AM-1065의 출력 트랜스포머로 12AT7과 함께 운용하며,
중첩전류는 회로도와 전원전압으로 알려진 250V로 계산해 약 7~8mA를 흘리는것으로 판단하였으므로
증폭관에 흘리는 전류도 이 수준을 넘을 수 없습니다.

전류만 생각해서 7~8mA 정도를 흘릴 수 있는 진공관은 상당히 많았습니다만,
크로스토크 비를 낮추기 위한 단일 3극관-적당한 증폭율-낮은 내부저항-높은 상호컨덕턴스에
결정적으로 적은 전류를 흘려도 직선성이 보장되는 관은 417A/5842가 유일했습니다.
IMG_5639.jpg 
고gm 다극관을 3결했을때 417A/5842의 특성과 비슷한 관들이 몇 있으나
이번 유리디체는 다극관의 3결은 배제하였기 때문에 간단히 417A/5842로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이전 헤드폰앰프용 유리디체에서는 417A/5842의 크기 때문에 소켓을 상판에 직접 붙였으나
이번에는 페놀수지판을 보조판으로 설계해 보조판에 소켓을 붙이는 방법으로 작업했습니다.
IMG_5619.jpg 
의뢰품이었기 때문에 저항의 품질을 대폭 올려 트랜스포머 2차측 부하를 포함해 모두 탄탈륨저항으로 구성했습니다.

전원부도 헤드폰앰프와 마찬가지로 전체 진공관구성의 직렬형 정전압전원장치를 꾸몄습니다.
IMG_5640.jpg 
다만 정류관을 전작 6BW4에서 전압기준으로 쓴 0B2와 같은 크기인 6X4로 바꾸었고,
볼트 자리를 케이스와 맞추는 등 세세한 변경이 있었습니다.

전원부도 증폭부와 마찬가지로 페놀수지판으로 구성했습니다.
IMG_5624.jpg 
6X4와 6EM7은 히터를 공유하며, 히터 띄우기는 6EM7 전력증폭관 케소드와 전압증폭관케소드의 중앙이고,
정상동작 때  약 105V를 유지하는 0B2에는 약 8.5mA를 흘렸습니다.

히터 정전압부 역시 전작과 마찬가지로 제 전용기판을 썼습니다.
IMG_5630.jpg 

볼륨은 자작인의 영원한 친구 RK27입니다.
IMG_5627.jpg 

입력 선택은 선을 끌지 않고 AXICOM 릴레이를 썼습니다.
IMG_5632.jpg 

전체적인 배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IMG_5618.jpg 

얼짱 각도입니다.
IMG_5636.jpg 

※ 전기적 특성은 사람의 신체검사와 같은것으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기계적 특성이 재생음색을 나타내는것도 아니고, 기계적 특성의 우수함만을 목표로 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제가 만든 기기의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고 싶을 뿐입니다.

모든 결과는 별도의 알림이 없으면 왼쪽 채널 기준입니다.

이득 : 약 6.2배, 약 15.85dB @ 1kHz, 100kOHM
잔류잡음 : 양쪽 평균 0.08mV, JIS-A 보정 0.01mV @ 100kOHM
찌그러짐  : 163mV 입력시 1V 출력, 0.44% @ 1kHz, 100kOHM

주파수 특성입니다.
EURIDICE_FP_3428_ORDER_fr_res.png 
20Hz~20kHz는 -2.34~-1.73dB, -3dB 기준 17Hz~28kHz로
전작 헤드폰앰프 구성에 적용했던 FP-3428과는 미묘히 다른 특성입니다.
이는 현대 하이파이 관점에서도 충분한 특성이며, 당시 방송용 기자재의 높은 품질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입출력 특성입니다.
EURIDICE_FP_3428_ORDER_inout.png 
2.2V까지 일정하게 증폭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찌그러짐 특성입니다.
EURIDICE_FP_3428_ORDER_dist.png 
찌그러짐 특성은 전작과 비슷한 양상입니다.

IMG_5645.jpg 
유리디체는 몇번을 만들어도 늘 새롭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