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기

GU-50 PP Роксана

by 정호윤 posted Sep 09,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러시아의 다극송신출력관 GU-50(ГУ-50)으로 PP 파워앰프를 만들었습니다.
IMG_5229.jpg

GU-50은 독소전쟁에서 소비에트 연방이 전리품으로 독일의 각종 산업시설을 뜯어 옮겨 만든 LS50의 복제품입니다.
LS50.JPG
LS50은 여러 파생형이 있는데, 히터가 같은 12.6V로 복제관인 GU-50, 다른 단자배치로 FL152, RL12P50,
6.3V 히터로 EL152, EL112, EL401이 있습니다.

LS50에서 GU-50의 변경점 중 가장 큰 차이는 LS50의 바닥쪽 금속길잡이가 없는것입니다.
전차의 송신기 출력관으로 썼던 LS50은 가능한 쉽고 안전하게 바꿔야했고, 금속길잡이가 그 역할을 담당했는데,
GU-50으로 바꾸면서 금속길잡이를 빼고 유리관에 길잡이를 만들어 전용소켓과 함께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LS50이나 GU-50의 가장 큰 외형적특징으로는 역시 상단 플라스틱 손잡이를 들 수 있습니다.
IMG_5217.jpg
이 손잡이는 그 용처 때문으로 전차의 송신출력관으로 쓰였고, 전차의 진동에 대처하기 위해 큰 대롱에 완전히 끼워넣고
위에서 뚜껑까지 덮어 누르는 모양으로 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진공관을 제거하는 방법은 쓸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뺄 수 있도록 손잡이를 달았고, 운용 중 열이 전달되어 매우 뜨겁기 때문에 석면장갑을 끼우고 빼는것이 보통이었다고합니다.

GU-50의 플레이트손실은 무려 40W로 KT88/6550 버금가는 대형출력관입니다.
다만 3결이나 UL접속을 상정해 설계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대 2번그리드 전압은 상당히 낮아 250V~300V 입니다.
그나마 3결은 아예 제원서 수준에서 제공하여 최대 400V 까지 가능하여 해외에서는 3결 SE가 많이 만들어지는듯합니다.

이 GU-50 PP의 이름은 Роксана 로 알파벳으로 바꾸면 ROKSANA입니다.(현재 GM-70 SE의 이름으로 쓰고 있습니다. 이하 ROKSANA)
전부 러시아관으로 꾸며 6N2P 차동회로 - 6N6P 멀라드 결합 - 고정바이어스 GU-50 5결 PP(G2:300V)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IMG_5214.jpg

ROKSANA의 입력회로는 정전류 회로를 쓴 차동회로로 구성되었습니다.
IMG_5210.jpg
차동회로로 운용하여 6N2P의 한쪽은 입력을, 다른쪽은 되먹임을 넣고, 되먹임 양은 반고정저항을 통해 정확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공통케소드에 이어지는 정전류회로는 전용기판을 썼습니다.
IMG_5194.jpg
케소드가 분리되었다면 반고정저항을 통해 오차를 제거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JFET를 덧대어 전류량을 늘릴수도 있습니다.

6N6P가 쓰는 전류가 상당했기 때문에 저항의 전력량은 플레이트부하가 10W, 공통케소드부하는 20W가 되었습니다.
IMG_5197.jpg
고정바이어스에서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그리드저항은 47kR, 커플링커패시터는 1uF를 적용했습니다.

정류는 초고속회복다이오드인 UF5408로 브리지정류했습니다.
IMG_5208.jpg
정류 직후 입력 커패시터는 47uF/500V입니다.

이후 채널별 초크코일로 나뉘어 820uF/200V 커패시터를 3개 직렬로 이어 600V로 구성합니다.
IMG_5203.jpg
출력트랜스포머의 B와 LM317 기반 고압 정전압장치로 2번그리드전압 300V를 만듭니다.
이를 통해 다극관 결선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껄끄러운 부분이었던 안정된 2번그리드전압을 간단히 얻을 수 있었습니다.

ROKSANA는 고정바이어스로 운용됩니다.
IMG_5200.jpg
각 채널별로 케소드와 기준전위 사이에 10R을 넣어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으로 전류를 보며
겸사 겸사 초단 차동회로의 정전류회로의 음전원전압도 얻습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방향입니다.
IMG_5205.jpg

전체적인 배선모습입니다.
IMG_5190.jpg

얼짱각도입니다.
IMG_5220.jpg

전기적 특성입니다.

※ 전기적 특성은 사람의 신체검사와 같은것으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기계적 특성이 재생음색을 나타내는것도 아니고, 기계적 특성의 우수함만을 목표로 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제가 만든 기기의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고 싶을 뿐입니다.

모든 결과는 별도의 알림이 없으면 왼쪽 채널 기준, 8OHM단자에 8R 의사부하 연결한 상태,
이어지는 계측기의 입력임피던스는 100kOHM입니다.

이득 : 약 20배, 약 26dB @ 1kHz
잔류잡음 : 양쪽 공히:0.2mV, JIS-A 보정 0.04mV
찌그러짐  : 1W 출력시 0.09% @ 1kHz, 이때 입력 140mV
             찌그러짐이 나타날때  0.3% @ 1kHz, 이때 약 44.6W, 입력 960mV

주파수 특성입니다.
GU50_PP_fr_res.png
붉은선은 1W, 푸른선은 찌그러짐이 나타나기 직전입니다.

입출력 특성입니다.
GU50_PP_inout.png
찌그러짐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약 45W 이후로 상승정도가 완만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찌그러짐 특성입니다.
GU50_PP_dist.png
최대출력인 44.6W 이후로 찌그러짐이 급격히 상승함을 알 수 있습니다.

1kHz, 1W 출력의 파형입니다.
GU50_PP_1W.png

최대출력의 파형입니다.
GU50_PP_960mV_IN.png

찌그러짐 3%에서의 파형입니다
GU50_PP_DIST_3PC.png 
첨두가 급격히 잘려나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G_5226.jpg
대형 다극 출력관 다극접속의 호쾌함을 경함할 수 있었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