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Sny DAC 소리가 좋은 소니 DAT 59ESJ

by 이대영 posted Jul 0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ONY DAT DTC-59ESJ

 

거의 모든 DAT를 써보왔지만

그중에 음의 확장된 소리를 원하시는 면에서라면

최고의 DAC 능력의 자랑하는 제품입니다.

 

소니에서 왜 모델명을 59라고 칭했는지 알수없지만

내부가 원래 59ES와 완전 다릅니다.

 

동일한 칩셋을 사용한 제품으로는 동사의 DTC-2000ES, ZA-5ES등 동일한 스펙의 동일 DAC 와 디지탈 필터의 제품입니다.

말하자면 SBM 기능을 첨가인데...향후 SACD를 제작할대 들어가는 그 원리를 채택한 DAT입니다.

 

DAC로 주로 사용하실것 이라면 최고의 가격대 선택입니다.

 

 

 

* 참고 *

 

DAT 구매요령

안녕하세요 오랜기간 DAT를 사용해 오면서 도움될 만한 상식을 조금 나눠드립니다.
DAT DECK 는 크게 4가지 제조사가 있습니다.
소니, 파나소닉, 파이오니아, 빅터 이 4군데 제조사가 거의 모든 제조사에게
메카니즘을 OEM 공급하였습니다.
소니 메카니즘 사용 제조사 : 아이와
파나소닉 : 데논, 스튜더, 포스텍스
파이오니아 : 타스캄, 오타리, 포스텍스
빅터 : OEM 공급안함... 자 회사만 사용
 
소니
- 2헤드/4DD(다이렉드드라이브 모터 수) 초기형
제품군 (소니 DTC-1000, 아이와 XD-001)
카세트 메카니즘의 명가 아이와 공동 개발 메카니즘
탁월한 안정성, 감기 풀기 개별 릴모터가 특징,
단점으로는 로터리 엔코더 방식이라..엔코더 기어가 (중고) 대부분 부러짐 교체기본
(증상 - 테이프 권취시 포지션에 제대로 자리를 못잡음..따라서 잡음 유발, 테이프 씹히는 원인 제공)
 
- 2헤드/2DD (초기형)
제품군 (소니 DTC-500, 300, M-100, 700, 55ES, 75ES , 아이와 XDS-1100)
4DD 메카니즘의 염가버젼으로 1개의 릴모터로 구동
역시 엔코더 기어가 (중고) 대부분 부러짐 교체필수
(증상 - 1릴 모터방식이라 힘이 다소 약함, 브레이크 패드 교체 필수,
또한 엔토더 불량으로 테이프 권취시 포지션에 제대로 자리를 못잡음..따라서 잡음 유발, 테이프 씹히는 원인 제공)
 
- 2헤드/2DD (후기형)
제품군 (소니 DTC-57ES,59ES, 59ESJ, 690, 790, A7, ZE700 , PCM-2300)
1 릴모터방식
단점 권취가이드가 플라스틱 레일을 따라 포지션을 찾는 방식이라 연식에 따라 가이드레일이 부풀어 올라
메카니즘 대다수가 고장??.. 재조정을 요함
 
- 4헤드/4DD (후기형)
제품군 (소니 DTC-1500ES, 77ES, 2000ES, PCM-2700, 2800, PCM-7010,30,40,50 등)
잘 유지보수 되었다면 단점 없음?, 한가지 헤드 오염시 청소해주는 스폰지 부식?? 교환요망
 
- 2헤드/4DD (후기형)
제품군 (소니 DTC-A8, ZA5ES, R500, R700 등)
잘 유지보수 되었다면 최고의 메카니즘 위의 단점이었던 오염 청소용 스폰지가 고무로 변경.. 단전보안
 
파나소닉
제품군 ( 파나소닉 프로, 일반용 전 제품, 데논 DTR-200G, 스튜더 제품군, 포스텍스 D-10,15 등)
완성도 면에서 최고로 프로용 장비에 주로 사용됨
궝취시 시원시원한 작동, 릴 감기 풀기시 가장 빠른 속도
단점?? 한가지를 꼽는다면 유지보수가 안되어있다면 테이프를 절단해버리는 증상이 생길수 있음
파이오니아 - 단순한 구조이면서 거의 고장이 없음
제품군 (파이오니아 전 제품, 타스캄 20MK2, 오타리 포스텍스 D-5 등)
 
빅터 - 국내 삼성전자와 같은 가전사로서 VHS 비디오 제조사로서 노하우가 고스란히 놓아있는 탁월한 메카니즘
제품군 (빅터, JVC 전 제품)
단점없음
자 위의 메카니즘은 DAT 테이프로 청취및 녹음 주로 하시는 분이시라면 참고하실 만 합니다.
타스캄의 상위 제품 군과 나까미치의 제품등은 장점도 단점도 거의 없는 메카니즘이어서 제외 하였습니다.
특히 타스캄의 제품군은 메카니즘 외적인 부분의 고장이 워낙 많아... 저는 거의 사용 하지 않습니다.
 
 
사용 DAC 별 구분
크게 3가지로 나눠집니다.
TDA1541등 16비트 칩셋, 1비트 종류등, 20비트 이상의 신형 칩셋들
가징 고가의 제품으로는 소니사의 DTC-1500ES가 있지요?
4헤드/4DD 에 16비트 멀티비트 칩셋을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거의 같은 77ES와는 가격차이가 5배?
동일 메카니즘에 동일 4헤드이지만 단지 DAC 칩셋이 16비트라는 것 때문입니다.
소리에 대해서는 호불호 이므로 ..여기까지 설명합니다.
 
DAC로 주로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이 항목을 참고 하십시요 (D/A 컨버터가 좋은제품)
추천 - 소니 PCM-7010, 59ES, 59ESJ, 690, 2000ES, 튜닝된 77ES, ZA5ES, 파이오니아 D-07, D-07A
 
아날로그 녹음을 염두에 두셨다면 이제 이번 항목을 읽어주세요^^ (A/D 컨버터가 좋은제품)
추천 - 소니 DTC-1000ES, 500ES, 파이오니아 제품군 D-06등 (96KHz 2배속까지 지원), 59ESJ (수퍼비트매핑 기능), 데논 DTR-2000G, 빅터사(K2 XRCD 녹음기술)의 제품들
 
씨디 또는 디지탈 녹을 주로 하시면?? (메카니즘이 좋은 제품)
추천 - 소니 DTC-77ES, 700/55ES,75ES, 59ES, 59ESJ, 파이오니아 제품군, 데논 DTR-2000G, 빅터 사 후기형, 파나소닉 전 제품
디지탈 녹음시 제품별 음질 차이는 전혀 없다고 보셔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녹음시의 SCMS에 의한 카피가능? 불가 만 있을 분입니다.
어느 제품을 선택하여도 녹음은 다 똑같습니다.... 4헤드라고 녹음이 잘되는 것이 아닙니다.
2헤드와 4헤드의 차이점은 일반 카세트 처럼 녹음과 재생이 분리된것이 아니라 재생용 헤드가 추가된것입니다.
따라서 녹음과/재생용 헤드를 같은것으로 쓰고 또다른 재생 헤드가 녹음시 테이프의 상태를 체크하는것입니다.
중고 테이프나 테이프 체크없이 배포를 목적으로 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4헤드는 불필요합니다

 

 

유지보수 마친 제품으로 소모성 벨트류 모두 교체하였습니다.


 

전원 : 100V 일본 내수용제품

사이즈 : 폭 470 X 높이 110 X 깊이 320 (mm)

무게 : 7Kg

상세 스펙은 -->>>> http://audio-heritage.jp/SONY-ESPRIT/player/dtc-59esj.html

판매가 - 27만원 (리모콘 없음.. 네고없음)

상태 좋습니다.

마스터용 초고음질 테이프 1개 증정

 

택배, 고속버스, 직거래 가능합니다.

 

 

저는 인천 만수동입니다.

010 9500 일구일일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