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필히 보세요)스피커 소리에 관한 보충 설명 올립니다

by 배석 posted Jan 1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피커 네트워크에서  수치가 맞는다고 아무 콘덴서로 교체한다고해서

AR특성의 소리가 나올수 없습니다.

* 특성이란 ~   기기마다  특이한 성질의 소리가 있다는 말입니다.

* 오디오에서의 정위감 이란 ~

(악기의  위치) - 연주하는 악기가 정해진 위치(방향)에서 들리는 (느낌 感)소리인가 입니다.

* 대편성 오케스트라 연주에서 악기별 정해진 위치(자리)가 있는데 시대에 따라서

악기 위치가 변하고 있습니다.

* 좋은 스피커란 ~

연주하는 악기의 소리가 전부 들린다는것도 중요하지만

어느시점에서 그악기의 소리가 도드라져야 할 부분에서 도드라져야 하는것인데

작곡자의 의도대로  들리지않고  그소리가 다른악기와 뭉쳐져 들리거나  작게 내지는  크게 들리면 절대 안되는것입니다.

* 대편성 오케스트라 연주 녹음시~ ( 모든 장르의 프로 녹음작업도 포함)

녹음 연주 현장에서  악기별 음 믹셔하는 엔지니어가 작업하지만  녹음후에 ~

작곡자와 함께 엔지니어가  최종 음 정리작업합니다.

즉~ 음분리가  중요한것은 기본인것이고 ~

* 입체감이란 ~

 스테레오, 돌비, 무대감, 등등으로 표현할수도 있습니다만,

 왠만한 스픽으로도 스피커 위치와  방향, 청취자의 위치에 입체감 얻을수 있으며

( 제가  반년전쯤에 네이버 AR 매니아 카페에  올린글 있으니  참조하세요)

* 스피커가 음 분리도가 좋으면  더욱 입체감이  좋은것은 당연한것입니다

 

자~   왈가불가하는 콘덴서가 중요한 이유

스피커의 구성에서 각기 각기의 부품의 구성이 중요하듯~

부품 재료의 질에  따라 결정됩니다.

좋은 질감의 콘덴서를 만들기 위해  엄청난 투자와 연구 합니다.

그러나  스피커 회사에서는 스피커의  ~  수요, 소비, 소비층, 가격 경쟁, 에 맞춰서  급 을 달리하는것이고

이에  고급형만 생산하느냐 , 보급형만   생산하느냐,   고급과 보급형 을 겸하냐 입니다.

이에따라  당연히 스피커 제작시 부품구성을 하는것입니다.

 

* 주파수 특성이란

이세상 모든물질이  주파수에 의해서 존재하는겁니다.

인간의 인체(세포)도 주파수 구성이며 식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 주파수의 특성에 따라 음질, 음성향은 결정 나는것입니다.

* 저가  보급형 콘덴서가 AR콘덴서를 능가한다면야  얼마나 좋겠습니까

* 수치가 올라간다는것은 소리가 더 크게 난다는것인데~

   음질과 음특성은   안따지고 큰소리만 나면 될까요?

 

* 지구의  모든 인간도 동물이지만 , 동물 식물 및  전자.전기 등의 구성이  주파수  형성입니다.

* 주파수 형성이 어떤 특성이냐에 따라서  성질이 달라집니다. 

그리하여   소리신호를 ~ 전기적 신호~  다시 소리신호로 바꾸는 과정이  네크워크이며

실제의 소리를 과학적, 물리적, 화학적, 으로  조합하여 본래의 소리를  인간의 귀에  얼마만큼

황홀하게 들려주냐가 관건이며  핵심이기에 ~

* 메인 콘덴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겁니다.

 

*  AR콘덴서는  오일콘덴서이든,  필름콘덴서이든   오래됐지만  대단히  양호합니다.

* 타 명기 스피커 동호인들의 재롱거리만 되는꼴이니  저도 심사숙고 합니다

      

                                          AR스피커 수리공방           배    석

 

 

 


Articles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