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기

1626 PP A

by 정호윤 posted Aug 25,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송신출력관 1626으로 인티앰프를 만들었습니다.
IMG_1234.jpg 

1626은 해외 http://www.oocities.org/timessquare/1965/darling.html 에서 만들어진
Dalring 이라는 파워앰프에 쓰여 유명해진 관입니다.
1626은 이전까지 그야말로 듣도 보도 못한 잡스런 염가관이었었습니다만, 이 회로로 가격이 폭등하며 명관 반열에 오릅니다.

IMG_1226.jpg 

회로입니다.
1626_PP_SCH.png 
Alfonsa는 되먹임이 없는 ECC83의 차동회로로 운용됩니다.
차동회로의 큰 고민 중 하나는 정전류원과 상황에 따라 필요한 음전원입니다.
이번에는 정전류 다이오드 E152를 정전류원으로, 음전원은 릴레이 기반 셀렉터의 전원을 음전원화하여 썼습니다.
E152는 편차가 상당히 있는편으로 가지고 있던것을 실측하여 같은것을 골라 썼고, 실측치는 1.6mA를 조금 넘었습니다.

따라서 ECC83의 각 3극관에 직류전류를 똑같이 맞추면 0.8mA 정도 흐르게 되지만,
실제로는 신호를 넣어 나오는 출력의 찌그러짐이 가장 적게 나타나도록 반고정저항을 맞췄기 때문에
각 3극관은 똑같은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회로에서는 이상적인 상태를 나타내기위해 같게 표시했습니다.)

1626을 다뤄보신분은 아시겠지만 Alfonsa의 1626은 정격을 125% 정도 상회해 약 7.3W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이전에 이 동작점의 운용에 문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동작점의 정격 초과로 인한것이 아니었고,
실제로 거의 문제가 없이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IMG_1228.jpg 

전체적인 배선 모습입니다.
IMG_1238.jpg 

전원부쪽은 페놀수지판에 단자를, 증폭부에는 알루미늄판에 단자를 올려 작업했습니다.

페놀수지판과 단자의 조합은 매우 효율적인 배선을 가능하게 해서
IMG_1245.jpg 
한줄로 늘어선 러그단자를 썼을때 흔히 나타는 배선의 꼬임을  피할 수 있습니다.

증폭부도 마찬가지로 소켓가이드와 단자대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어 부품의 배치와 실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IMG_1252.jpg 

정전류원 회로 실장을 위해 5핀 단자대가 쓰였습니다.
IMG_1253.jpg 
리드의 길이가 긴 RJ13PR을 ECC83의 각 케소드에 직접 잇고, 바로 단자대로 이어 배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정전류 다이오드와 디커플링 회로가 이어집니다.

증폭부를 자세히 위에서 봤습니다.
IMG_1243.jpg 

셀렉터와 볼륨이 있는 간이 인티앰프로서 볼륨은 파나소닉의 EWCP를 썼습니다.
IMG_1248.jpg 

히터에서 유발되는 잡음을 가능한 줄이기 위해 가상중점 처리를 했습니다.
IMG_1240.jpg 

회로도에서도 나타나 있지만 2차는 8OHM 단독으로 0OHM을 접지하지 않았습니다.
IMG_1241.jpg 
또한 릴레이 기반 셀렉터 기판에서 정전류회로 전원을 꺼내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증폭부를 기울여 찍었습니다.
IMG_1259.jpg 

얼짱각도입니다.
IMG_1231.jpg 

※ 전기적 특성은 사람의 신체검사와 같은것으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기계적 특성이 재생음색을 나타내는것도 아니고, 기계적 특성의 우수함만을 목표로 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제가 만든 기기의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고 싶을 뿐입니다.


모든 결과는 별도의 알림이 없으면 왼쪽 채널 기준입니다.


이득 : 약 2.7배, 약 8..6dB @ 1kHz, 100kOHM 되먹임 없음
잔류잡음 : 양쪽 공히 0.25mV, JIS-A 보정 0.037mV @ 100kOHM
찌그러짐  : 1W 출력시 0.84% @ 1kHz, 100kOHM
                 찌그러짐 발생기준 최대출력 2.4W 에서 4% @ 1kHz, 100kOHM

주파수 특성입니다.
1626_PP_fr_res.png 
1W와 최대출력 2.4W를 1kHz 0dB로 겹쳐 표시했습니다.
되먹임이 없지만 배려된 회로정수와 태창의 출력트랜스포머가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낸것으로 생각합니다.
1W:20~20kHz:-0.26~-0.32dB, -3dB:6~약 90kHz
2.4W:20~20kHz:-0.21~-0.31dB -3dB:8~약 90kHz

입출력 특성입니다.
1626_PP_inout.png 
최대출력 2.4W 이후로는 상승세가 완만해집니다.

찌그러짐 특성입니다.
1626_PP_dist.png 
모든 주파수가 같은 모양의 상승세를 보여줍니다.

IMG_1264.jpg 
소출력앰프의 운용은 근접청취나 고음압스피커등 환경이 받침이 되어야하는데,
이 부분만 해결이 된다면 꼭 경험해봐야한다고 생각됩니다.

고맙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