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도금 선재 대답드렸읍니다

by 김창대 posted Mar 25,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이 게시판 과 자유게시판 두군데에 번갈아 공개 질의하신 것을 늦게 보아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이게시판 9396번 문의하신 란에 아래와 같은 내용의 뎃글을 달았읍니다
며칠전에 질의하신 내용이기에 혹시 못 보셨을까봐 알려드립니다.
     여러 회원님 반갑습니다.이 선재 사진의 주범이 접니다.
해박한 식견 피력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한마디로 사진의 선재는 오디오 신호 선재로는 과분할 정도의 좋은 선재라고 저는 말씀드립니다. 전선의 사명은 첫째 전기가 잘 통해야 되는데 고 순도 동선에 은도금이기에 저항이 작아 손실이 없읍니다. 둘째 차페가 완벽하여 신호선의 사명을 다하는 일등 잡음유입 방지의 경비원입니다.
임피던스 매칭은 만점이 분명히 아닙니다만 이것 때문에 음질을 좌우하지는 않습니다.
임피던스 매칭은 공학 이론에서 보면 최대전력전달 조건을 만족시키느냐의 문제입니다. 임피던스 부정합으로 인한 인터선의 전달손실은 RF용 스펙트럼아니져로 측정할 것이 아니고 저주파 대역용 스펙트럼으로 해야 당연하겠지요.참고로 이선재 1미터의 선간 용량은 85pF이오니 리악턴스 Xc계산,지정 주파수 대에서의 병열 합성 임피던스게산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굳이 고가의 스펙트럼으로 하지않더라도 다음 방법으로 측정이 가능합니다.

600옴 출력 임피던스를 가진 오디오 제네레이터의 출력에 시료 케이블을 연결하고 케이블의반대 끝에 600옴 저항과 AC MILLIVOLTMETER(구 VTVM)의 입력 케이블을 연결합니다.오디오 제네레이터의 출력레벨을 적정레벨(예로 1v RMS)로 고정 시킨후 20Hz에서 20KHz까지 가변 시키면서 레벨메타의 지시를보시면 과연 얼마나 감쇄가 되는지 주파수 특성이 어떤지 아실 수 있읍니다.그 다음 500킬로옴의 저항으로 바꾸어서 실험을 해 보시면 입출력 임피던스가 600옴인 프리 엠프와 입력임피던스가 500킬로옴,또는 그 이상인 메인 앰프일 경우의 검정이 되겠지요.
그래서 RF용 케이블은 오디오 신호선으로 쓸 수있지만,오디오용 케이블은 고주파에는 사용할수가 없지요. 그런데 오디오인터선에서 RF대역처럼 반사파 걱정을 해야하는겁니까?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음파이론에서 첫째 매질의 고유 음향저항,둘째 음의 강도를 결정하는 속도 실효치,셋재 음압레벨등의 이론 때문에 이 선재가 좋다,저 선재가 좋다고들 하시는게 아닐까요?

끝으로 .1.음식은 먹어봐야 ,소리는 귀로 들어봐야,사랑은 해봐야 제대로 아는 것 아닌가ㅛ?남의 말을 그대로 듣지만 말고 직접 만들어 청음하신후 확신에 찬 자기 의견을제시하신다면 더욱 좋겠지요.
2.인터선,스피커선 ,앰프 스피커가 조화를 이루었다 하더라도 이론적으로 엄청나게 주요한 청음실을 경시하고 는........
3.기기나 그 부속들이 좋아서 하이파이 영역의 아주 평탄한 특성을 재현한다고 핻도,우리 인간의 귀는 전기적 출력레벨을 그대로 평탄하게 느끼지 못할 뿐만아니라 사람 개개인마다의 주파수 응답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
4.같은 물건이라도 일방적인 선입견을 버리고 애정으로 접할 때 심리적으로 얻는 만족감은 배가한다고 생각합니다.병원 의사님들이 가짜약(위약)을 환자에게 주면서 확신에 찬 코멘트를 했을 때 환자의 치료를 많이 진전시켰다는 실전 레포트처럼.....

회원 여러분 화창한 봄날에 모두들 건강하시고,즐겁고 행복한 일들이 나날이 더해 가시길 기원합니다. 제 이야기에 잘 못이 있으면 채찍질 해 주십시요.감사합니다.
  61.76.22.193 2009/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