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Du 턴의 3대 명기

by 홍준모 posted Jan 25,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선 현재 저는 동사의 턴 중에서 701과 72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타의 턴은 사용해 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구매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동사의 턴 중에서 3대 명기는 아이들러인 1229, 다이렉트인 701, 벨트에는 5000입니다.

턴테이블은 wow & flutter와 rumble 수치를 발표하는 데, 이 수치들은 음의 왜곡도를 설명해 주는 것입니다.

Wow & Flutter : 1229-0.06, 701-0.03, 5000-0.013%
Rumble : 1229-63 db below 701-70 db , 5000-80 db 입니다.

여기서 1019는 wow & flutter 0.1%, Rumble 50 db  입니다.

점점 왜곡이 감소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위의 수치들은 신품일 경우라는 것입니다. 이미 오래 전에 생산된 기기들이기 때문에 초기 상태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위의 수치들은 더욱 중요한 판단 요소입니다. 기기의 물리적 특성상 얼마나 정속도로 정숙하게 회전하는 가가 구매의 첫째 조건입니다.

1019와 1229의 톤암에 관해서 말씀드리면,

1019에 사용된 3점 지지방식의 톤암의 수평,수직 베어링의 friction은 0.05gram
1219에 사동된 4점 지지방식의 톤암의 수평 0.015gram, 수직 0.007gram 입니다.

여기서 friction은 마찰이며 표시되는 수치는 그것을 방해하는 정도입니다. 즉 마찰이 적을수록 왜곡이 적은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1019와 1229를 동일한 조건에서 청취한다면 어떤 결과가 있는가를 생각해 보면,
1019의 음은 저역과 고역이 강조되어 나옵니다. 1229에선 그 강조됨이 작아 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락음악 청취 시 1019에선 저역과 고역이 강조되어 다이나믹이 증가하고 펀치력이 있다고 느끼게 되며, 이는 락음악의 특성상 좋은 기기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역대가 위축되어 가수가 더 안쪽에 있게 되고 제악기의 음경계가 미약해져 정위감이 줄어 들게 됩니다.
첼로 솔로를 듣는 다면 저역의 부풀림으로 인해 꽉 찬 저음 또는 바닥을 파헤치는 저음처럼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놓치게 되는 것은 음의 섬세함입니다. 결국 교향곡 같은 다편성에 중저역 음이 많은 곡들은 그 재생에 한계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전, 1229를 구매하게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