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국산 오토그래프통을 잘 구현하기 위한 개인적인 소견

by 안승택 posted Jul 04,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래 탄노이를 애호하셨던 어느 교수님이 탄노이에 대한 애증을 이야기 하셨습니다.

그 아래에 달린 댓글의 대부분은 이 번 기회를 이용하여 탄노이를 폄하해 보자는 의도로
보여져서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이나 방안, 즉 물리적분석이었더라면 더 좋았을 거란 생각입니다.

음악애호가들의 스피커 선택은 취향과 기호의 절대적 영역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 입니다.
이 개인의 선택 영역은 다른 사람들이 왈가왈부해서는 않되는 말없이 통해야하는
불문율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탄노이의 운영에 있어서 탄노이통의 역할은 다른 스피커 보다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하고 있다는데는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아마도 현악기의 통에서 나오는 간접음을 잘
구현하기 위한 방안이었다는 제작사의
의도를 손쉽게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Radio
s Master-16th Edition을 보면 그때 당시 탄노이블랙의 주파수 특성을 그려놓은

다이아그램이 있습니다.
DUAL CONCENTRIC LOUDSPEAKER UNIT MOUNTED IN CORNER BASS REFLEX
CABINET.
이라고 전제되어있습니다.
아주 훌륭한(평탄한) 주파수
특성 곡선을 보여주고 있는데, 탄노이블랙은 베이스
리플렉스통에서 잘 구현될 수 있
도록 네트워크가 튜닝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탄노이사가 추구했던 컨셉을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을 듯 싶습니다.


1954년 미국의 음향전시회에 첫 선을 보인 실버를 장착한 오토그래프통 역시 유닛과
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입니다.

실제로 탄노이 실버의 네트워크 도면을 검토해 보면 네트워크의 특정대역의 주파수
영역이 비어있다는 사실을 감지하게 됩니다.
그 것은 특정대역을 통소리에 의존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요즈음 국내에서 제작한 오토그래프통이 탄노이 오토그래프 오리지널통과 네트
워크의 상성에 있어서 적합할까요?
재질과 두께와 제작방식이 전혀 다른, 목공적완성도만
으로 오리지널네트워크의 음향물
리학적 균형과 조화를 평탄한 주파수 특성으로 맞출 수 있을까요?
저는 전혀 아니라고 보고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국내제작통으로 탄노이를 올바르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저는 네트워크의 구
성방법과 시정치를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탄노이 오리지널 네트워크의 비워져있는 주파수영역을
채워줘야 할 뿐만 아니라, 네크워
크의 물리적특성도 상향 시켜줄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
입니다.
왜냐하면 오리지널보다 투박한 성향의 국내제작통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좀 더 선명한 음
색으로 네트워크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필요성
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몇 개의 분해 된 블랙과 실버의 네트워크를 검토해 보았을 때, 아주 가느다란 게이
의 코일과 STATIC이라는 투박한 성향의 오일콘덴서는 음을 뿌엿게 흐려놓기 때문에

탄노이 유저들은 맑게 원상복구를 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값비싼 오리지널통과 값비싼
앰프들을 사들여야 하는 소모적인 투쟁을 하고 있지는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결론을 이야기 하자면 국내제작 오토그래프통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시정치와 물리적특성~,가장 먼저 저역부 코일, 다음으로 고역부 콘덴서, 성능이 좋은
어테뉴에이터로 향상시켜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네트워크는 제작사에서 크기와 비용의 한계 때문에 어쩔 수 없었던 부분을 보다 더 근본
적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즉 오리지널을 능가할 수 있는 유일한
영역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값비싼 오리지널통과 값비싼 앰프군들로 해결하기 보다는 훨씬 수훨하고 경제적이지
않을까요?


흔히, 탄노이의 네트워크를 건드리면 탄노이 본연의 소리를 상실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습니다만, 제 생각은 탄노이가 잘 구현하는 현악기나 단일악기, 그리고 소편성에는 탄

노이 고역부의 라운드 혼의 응집력이라는 강점과 통의 로직에서 기인한다고 보기 때문에
지장이 없다고 봅니다.

 

저는 JBL유저이지만, 저와 가깝게 계시는 탄노이의 열정적인 애호가 J선생님 덕분에 탄
이의 하드웨어적인 부분들을 상세하게 검토해 볼 기회가 있어서 나름의 생각을 적어
보았습니다. 탄노이가 애호가를 홀리는 이유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미흡한 사람의 소견이오니, 부족한 견해에 대해서는 너그럽게 용서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