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엔지니어들을 위한 변명

by 윤영진 posted Jul 24,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좋은 글 잘 일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조중걸님의 글 중에서 가끔 언급되는 엔지니어에 대해서 살짝 변명을 하고자 합니다. 물론 저는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업무상 엔지니어들과 일을 많이 합니다.

다름이 아니고, 저도 오디오 증폭기의 단간 트랜스 결합을 무척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조중걸님의 님의 표현 중에 "엔지니어들은 트랜스 결합을 싫어한다."는 표현이 가끔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음향 엔지니어들은 트랜스 결합을 선호합니다.
물론 '음향 엔지니어'가 아닌 통칭으로 '모든 엔지니어'라고 대비하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오디오와 관련한 이야기다 보니 '음향 엔지니어'로 보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음향 엔지니어도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을 듯 합니다.

레코딩, 믹싱 등 전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엔지니어들과 음향기기를 제작하는 엔지니어....
물론 음향기기를 제작하는 엔지니어들이라고 음악적이지 않다고는 할 수 없으나,
레코딩이나 믹싱 등을 하는 엔지니어들은 일종의 음악가로 치부됩니다.

따라서 이들은 실제로 듣는 소리 그대로, 더욱이 가청 범위 밖의 초음역대 등에 대한 욕심은 잘 부리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재생되는 음이 실제 연주에서 느끼는 감동(절대로 기술적 음향이 아닌)을 살릴 수 있는가를 고민합니다.
그래서 주로 노력하는 것이 수많은 '조작과 카피와 편집과 전송'의 프로세스에서 최소한도로 음의 변조와 소실을 줄일 수 있는가? 그리고 녹음된 음원에서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과장할 것인가를 고민합니다.

복잡한 음향 제작 프로세스에서 가장 문제는, 음을 만지면 만질수록 노이즈가 자꾸 증가되고, 다이내믹스는 줄어든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노이즈를 줄이고 다이내믹스는 유지하기 위해서 엄청 고민하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이런 고민을 해소하는 데 있어서 가장 유효한 수동소자가 '트랜스'입니다.

저임피던스 출력과 고임피던스 입력은 가정용 오디오의 브리징 기술에나 소용되는 개념이고,
프로 엔지니어들에게는 '정임피던스 매칭' 외에는 다른 선택이 어렵습니다.

음향 엔지니어들은 당연히 주파수가 협대역화되거나 트랜스 특성으로 주파수 특성에 왜곡이 오는 것을 참고 트랜스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변화가 크게 일어났습니다. 바로 디지털이라는 것입니다.
디지털은 트랜스를 꼭 써야 하는 필수적인 용도에서도 상당수 트랜스를 뺄 수 있게 역할을 합니다. 물론 디지털 레코딩이나 믹싱 등의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등의 문제로 들어가면 한없이 복잡하게 되니 각설하고.....

그러나 디지털 시대에도 음향 엔지니어들은 '진공관식 마이크'와 '진공관식 콘솔'과 '트랜스 결합'을 더 선호합니다.

조중걸님 말씀처럼 가청대역 이상의 재생 등의 수많은 혹하는 프로파겐다는 음향기기 메이커와 광고업체들이 천문학적 가격의 기기를 판매하기 위해서 강조하는 스펙일 뿐이고,
우리 귀가 좋아하는 소리는 다릅니다.

음향 엔지니어들의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귀'입니다.
바로 그 '귀'로 최종 청자가 음을 듣는 것을 너무 잘 알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일부 "전자공학 지식"을 무장한 "기기 제작자"들입니다.
공부할 때 뿌리박힌 '이성적 기술이론과 스펙 신봉주의'로 인해서

"스펙이 좋으면 당연히 음도 좋다!"라는 것은 확신하는데,
"음이 좋으면 스펙도 좋다!"는 역론은 잘 인정하지 않습니다.

조중걸님이 지칭하신 엔지니어가 바로 그런 일부 분들일 수 있다는 점을 잘 알면서도 사족의 글을 올렸습니다. 절대로 말꼬리 잡는 심사는 아니라는 점을 양지해 주십시오.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