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접

네트워크 감쇄볼륨 적용 유무에 따른 소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by 항아리 posted May 12,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드라이버 앞에 달린 감쇄볼륨 때문에 막힌 신호는 어디로 갈까요?
흩어져 버리고 사라질까요?
흩어져 버리고 사라지는 것은 드라이버를 조작하는 갖가지 방법들에 의해서입니다.

혼 아가리를 늘인다거나 우드혼 등의 특이재질로 혼을 만든다거나
혼에 수건을 얹는다거나, 심지어 휴지로 혼 아가리를 틀어막는다거나...
그런 방법들이 소리를 손실시킵니다.

감쇄볼륨에 의해 제지당한 신호는 되돌아가거나 어스로 빠집니다.
그리고 우퍼를 통해 표현됩니다.
결코 어디 안갑니다.

드라이버에 감쇄볼륨을 달아 드라이버 성능이 떨어지는 겉 같아 못견뎌할 필요
없습니다.
그것은 드라이버 혼자만 소리내는 것으로 아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스피커는 당연히 우퍼와 드라이버가 함께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드라이버로 가는 것이 허락되지 않은 소리신호는 우퍼로 돌아가 우퍼의 중저역
해상도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드라이버 감쇄볼륨을 붙였다가 제거했다를 반복하시면서 드라이버 소리를
듣지 마시고 우퍼 소리를 들어보십시오.

드라이버로 과대한 신호가 빠지고 손실됨으로써 우퍼가 얼마나 우울해하는지를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우울한 우퍼를 두 발 네 발 붙인들 무슨 소용이 닿겠습니까. 코미디가 될뿐입니다.

소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절실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