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접

엑숌 80 두얼굴

by 김석일 posted Mar 29,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TRONG>

1. 굿맨스 엑숌 80의 역사적 배경
(Historical background of Goodmans Axiom 80)

엑숌 80은 1954년에 처음 생산되었습니다. 이때의 것을 구구형(Very old type) 또는 극초기형(Very-early version)이라 할 수 있습니다.

1958년경 공장이 WEMBLEY, MIDDLESEX로 정확히 표기되면서 콘지와 2중콘(더블콘, whizer)의 색감 등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만들 때마다 조금씩 재료 조달에 따른 차이인지, 원래는 같았으나 보관 과정과 청취환경이 달라서 빚어낸 "색바램"현상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때부터 언제까지인지 모르지만(1960년대 말?) 일단 생산 중지할 때까지의 것을 구형(Old type) 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본인의 우상적 숭배로 인해 그 열화에 응답하여 재생산 된것을 신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미 공장도 다른 곳으로 이전했고 콘지 등 재료도 없는 상황에서 새로 제작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콘지, 2중콘은 재질이 구형과 매우 다르며, 콘지에 동심원 주름을 넣은 숫자나 주름 깊이와 넓이도 차이가 현격하여 종이 원료며 프레스 기계 조차도 구형의 것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 확실합니다. 분해해보면 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이런 부분도 계속 정보가 필요하며 스피커 수리 전문가의 노하우가 공개되어야 가능합니다).

신형 또는 레프리카(복제품, 복각품) 엑숌 80은 어떤 면에서는 형태만 동일한 신제품으로 보아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당연한 일이지만 음색은 듣기에 따라서 천양지 차이일 수 있습니다. 이 신형도 1970년대 생산품과 1980년대(1987년) 생산품이 조금 차이가 있다고도 합니다만 더 확인해야 할 부분입니다. 신형의 정확한 발매년도와 중단년도도 확인되어야합니다. 이 글을 보시는 엑숌 80 소장자님들의 의견 개진을 고대합니다.

추 1:  1987년 일본 오디오책에 실린 "엑숌 80" 광고로 미루어 이 해에 신형(일본인은 레프리카-복각품이란 표현을 쓰더군요)이 한정 재생산된 것 같습니다. 제가 1988년 초여름에 대구에서 신형을 구했는데, 우리나라도 영국으로부터 일본에 도착한 신형을 50여조(?) 즉각 누군가(금강오디오?)가 수입해서 판매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좀더 확인해야할 엑숌 80의 비하인드 스토리입니다. 요런 것이 재밌습니다만, 일본과는 달리 대륙적인 우리네는 사소한 것에 별 관심이 없는 풍토이고 따라서 오디오를 호사스런 재물로만 여기는 경향이 있어서, 가격과 남의 의견에 충동을 받아 사고 팔고 소장가치와 나중에 돈이 되냐에 너무 관심이 치우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오디오 한다는 말을 부끄럽게 생각하는 것을 많이 봅니다. 오디오는 문화적 취미적 전문 분야이고 학술적으로도 깊이 연구되는 것이 일본, 미국의 분위기인데, 이 점이 너무나 부럽습니다. 우리도 더 늙기전에 각자의 체험과 지식을 공유의 장에 남겨야 할 것입니다.

  추2:
Goodmans Fullrange Unit
AXIOM 80

영국의 굿맨사는 1930년에 창립된 스피커 시스템의 명문으로 1936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한 더블콘 스피커 AXIOM 150으로 유명하다.
AXIOM 80은 이러한 전통이 탄생시킨 더블콘형 24cm 풀레인지 유니트로서 프레임의 강성이 매우 우수하다. 뒷면 세 방향에 각형의 리브가 돌출되어 있는데, 원형의 경우 공진 발생이 많은 것에 비해 각형은 공진 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 각형의 기둥에 판형 용수철이 연결되어 콘 중심부를 지지하고 있다. 유니트의 전면은 프레임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을 빼내어 세 곳을 판형 용수철로 연결,콘 외주를 지지하여 뒷면과 전면의 판형 용수철이 무게를 느끼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판형 스프링에 의해 댐퍼와 에지가 필요없다.
(수입원 : 광우전자/소비자 가격 95만원)

형식: 더블콘 풀레인지
재생주파수: 20Hz~20KHz
임피던스: 15옴
최대입력: 12W
자속밀도: 17,000 gauss
총자속: 62,000 maxwell
규격: 직경 24.1cm, 깊이 16.2 cm
무게: 4.2kg
(출처: 월간 오디오 1994년 4월, 53쪽)

2. 엑숌 80 개발자로 알려진 E. J. Jordan에 관한 정보

Ted Jordan
The earliest photograph of Edward James Jordan, (Ted, to everybody) was taken Circa 1933 and shows him sitting on his Father's knee wearing headphones and adjusting a 'crystal set', (one of the earliest types of receiver). With his mother coming from a musical family and his father a skilled amateur radio builder Ted could have been 'genetically engineered' for his vo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his most treasured possessions were a wind-up gramophone and his record collection. Later, his love of music led to a brief encounter with the piano but he was quite unable to master Beethoven's Emperor Concerto - even after three lessons - so he learned to solder and built himself a record player instead.

Living in London, Ted had access to the major concert halls. His experience of live music planted the seed of dissatisfaction with recorded music which has remained a driving force in his work to this day.

Brushing aside his college studies in building technology and architecture, Ted started his career as an assistant in the radio laboratories of the GEC and his first hi-fi experience was hearing Gilbert and Sullivan's Overture to 'The Mikado'. played through the new GEC 8" metal coned loudspeakers developed by Hugh Britten. For the first time he was experiencing an astonishingly close approach to live concert sound. Although somewhat 'coloured' the quality convinced Ted of the full sonic potential of the cone drivers had not been fully developed.

In 1952, with this in mind, Ted joined Goodmans Industries of Wembley, where the very progressive management gave Ted the opportunity to develope his own ideas (with the proviso that if they worked Ted's salary would be doubled - if not he would be sacked). Ted now had the freedom of the most advanced electro-acoustic laboratories in Europe where he commenced his seminal studies of cone behaviour at high frequencies. He observed that the flexing of the cone played a vital and necessary role in the treble performance and that a very smooth and extended response could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is flexure through specific design of the cone profile.

This work resulted the 'Goodmans Axiette', which was the first of the single cone, truly full range drivers. It's smooth and extended frequency response outperformed all other contemporary drivers. Without doubt, it's sonic performance was further enhanced by the. the absence of crossover components. BUT, although much less coloured, it still lacked the 'life' of the GEC drivers and it was then that Ted acknowledged the qualities of the light metals as a cone material. (but the explanation for this came later).

Ted subsequently redesigned the entire range of Goodman's drive units, extensively researched new methods of loudspeaker loading and had numerous articles published in Britain and abroad. He also developed a full range electrostatic loudspeaker which made it's debut at the same time (and much to the consternation of) QUAD. Ted's last project for Goodmans was a miniature loudspeaker system using a two inch full range unit which was the basis for the small multi-media systems of today.

In 1962 Ted's, extensive knowledge and experience was brought together in his definitive text book, 'LOUDSPEAKERS', published by Focal Press. It has never been equalled for it's full mathematical analysis of loudspeaker theory and first principle derivation of all loudspeaker parameters, (now often referred to as the 'TM' parameters).

3. 굿맨스 엑숌 80의 분류
(Goodmans Axiom 80 Classification)

1. 굿맨스 엑숌 80 구형 극초기형 또는 구구형
   Goodmans Axiom 80, original very-early version


사진. 엑숌 80 구형 극초기형(구구형)의 뒷모습. "G"자 마크가 한가운데 있음.


사진. 엑숌 80 구형 극초기형(구구형)의 앞모습. 2중콘이 밤색(군화빨이 안나는 이유는??)


사진. 엑숌 80 구형 극초기형(구구형) 또 다른 것의 뒷모습.


사닌. 엑숌 80 구형 극초기형(구구형) 또 다른 것의 앞모습.


2. 굿맨스 엑숌 80  구형 초기형
   Goodmans Axiom 80, original early version


사진. 엑숌 80 구형 초기형의 뒷모습. 디자인이 바뀐 은색 라벨.


사진. 엑숌 80 구형 초기형의 앞모습.


사진. 엑숌 80 구형 초기형 또 다른 것의 뒤모습.


사진. 엑숌 80 구형 초기형 또 다른 것의 앞모습. 2중콘의 '군화빨' 광빨이 잘 올랐음.


3. 굿맨스 엑숌 80 구형 중기형
    Goodmans Axiom 80, original middle-age version


사진. 엑숌 80 구형 중기형의 뒷모습. 공장 이름이 WEMBLEY MIDDX, 자석덮개 둥글린 가장자리.


사진. 엑숌 80 구형 중기형의 앞모습.


사진. 엑숌 80 구형 중기형 또 다른 것의 뒷모습.


사진. 엑숌 80 구형 중기형 또 다른 것의 앞모습.


4. 굿맨스 엑숌 80 구형 후기형
    Goodmans Axiom 80, original late version


사진. 엑숌 80 구형 후기형의 뒷모습. 금색 라벨, 자석덮개 가장자리 각짐.


사진. 엑숌 80 구형 후기형의 앞모습. 2중콘의 '군화빨'이 남아있는 것.


사진. 엑숌 80 구형 후기형 또 다른 것의 뒷모습. 자석덮개의 각.


사진. 엑숌 80 구형 후기형 또 다른 것의 앞모습. 2중콘의 '군화빨'이 바래버린 것.


5. 굿맨스 액숌 80 신형
    Goodmans Axiom 80, re-issued version


사진. 엑숌 80 신형의 뒷모습. 은색 라벨(이것이 신형으로는 처음 나온 것으로 추정), 공장 이름이 Havant Hants로 바뀜.


사진. 엑숌 80 신형의 앞모습. 콘지 동심원 8개, 2중콘 재질이 구형과는 다름.


사진. 엑숌 80 신형 또 다른 것의 뒷모습. 금색 라벨(나중 나온 신형으로 추정).


사진. 엑숌 80 신형의 앞모습. 콘지와 2중콘이 구형과는 완전히 달라짐.

후기: 굿맨스 엑숌 80의 사진 자료는 인터넷에서 찾은 것들입니다. 많은 양해를 바랍니다. 또한 위 분류에 있어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동호인 여러분께 많은 조언과 자료를 올려 주시길 부탁 드리며, 정정 및 보충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