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접

오디오와 내 귀는 ?? 청각 기능

by 안기종 posted Aug 21,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사람의 귀란 것이 점차 감각이 쇠퇴하면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고역 대역의 감쇄기는 하지만,
그보다도 전체적으로 고막과 청각신경의 둔화로 전대역에서 감퇴가 일어납니다.

젊어서는 동일 음량으로도 잘 들리던 말소리가 나이들면 크게 말해야 들리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다만, 중역대가 그나마 감퇴속도가 늦지요.
청각감퇴가 아주 심해지면 보청기까지 필요해지지요.

오디오 기기중에서 가장 물리 특성이 떨어지는 기기가 스피커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우습게도 사람의 귀가 물리특성이 더 떨어집니다.
100명이건, 1,000명이건 정밀측정기로 사람의 귀의 청각 능력을 검사한다면,
주파수 특성이 울퉁불퉁하고, 양측 페어도 엉망으로 틀어져 있고,
동일 음량에 대한 청각 감도도 사람마다 크게 편차가 남을 알게 될 겁니다.

그러다 보니 소위 '골든이어'라는 사람도 있고....
저같은 막귀도 있고....^^
.==============================...............

위 내용은 윤영진님의 글 일부입니다만...
저는 여기에서  윤영진님의 심도 깊은 내용의 음질과 해상력 내용을 제외한 ... 청각 기능에 대해서 한 말씀 드려 볼까 합니다.

제가 알고있는 내용을 조금 말씀드리자면...우리 인간들의 귀의특성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전대역에 감퇴가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니  그리 서운해 할것은 아닐거  같습니다만..

그보다 먼저 거론 하고 싶은것은 젊었을때, 건강한 나이에도 ..

*어느음량이하(저음량)*에서는,고음과 저음을 듣는청력이 출력되는 음압을 느끼지 못하는것으로 의학적으로 확인 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에 이런 저련 서적에서 내용을 여러번 본것 같습니다.

청력은 작은 음량에서는 고음과 저음이 듣는힘이 약하고, 어느정도의 음량으로 올리면 ,청력상 플래트한 음량으로 인지되지만 ,
그 한계를 넘어가면, 상대적으로..,고음과 저음의 과잉으로 인지됩니다.
그것을 프로페셔널 장비로 테스트를 하여보면, 오디오 출력상으로는  풀래트한 음량일지라도,,,말입니다,
------------------
그런데  좀 전에 이야기한 플래트한 음량으로 인지 되었다던??,
당시에 음압과 주파수를 체크해보니 20hz- 20,000hz 를 기준으로 본다면 저역과 고역대가 내려간,
소위 우리가 말하는 중역대가 약간 부풀어 보이는 그래프 모양이라는 것이지요^^.

또 재미 있는것은....
어느음량 이상으로 올라가면, 벙벙거리는 저역과 시끄러운 고역 과잉을  먼저 느낀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때  옆에 있는 자녀들은 뒤집어 진다는 것이지요!.
나 보다  젊은 친구들은 나이에 따른 청력의 감쇠가  덜한 만큼....

========================
결국은 저음량의 음악을 ,기기에서 전대역에 걸쳐 평탄한 주파수대를  재생해 내 보낸다 하더라도....,
.원천적으로 우리 귀가 느끼는 것은  고음과 저음이 약하다?고,안 나온다?고 느낀다는 것이지요. ,
-**저 본인 개인적으로는 톤 콘트롤를 사용합니다.... 약간 저역과 고역을 부스팅 합니다
** 청력의 약점을 보정합니다.

그런데 어느음량이상에서는 고역과 저역 과잉이 일어남니다,그래프 상으로는 저역과 고역이 과잉출력이 아닌데도 말입니다.
이때는 상대적으로 톤 콘트롤과 ,베이스 콘트롤이 표준내지, 이하로 내립니다.

===============================
이미 다 알고 계시는 내용을 다시 거론 한것은 ,
이세상에서 우리가 이야기 하는 오디오는 존재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원천적으로 우리의 청력 자체가 일률적으로 ,기기가  플래트 하게 재생해  주는것을 받아 들일수 없는 귀를 가지고 저음량에서부터 고출력 까지
평탄하고 부드럽게 느끼기를 기대한다는 것은 생채적인 약점이 아닌가 합니다.

청력이 저음량애에서 고음량까지.,크기에 따른 高低만이라도  함께 순증적으로 인지 한다면  그런 꿈의 오디오는 이미 탄생 되었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위에 언급한 우리의 귀가 이러한 히한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에 오디오 기기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
많은 분들께서  많이 언급하시는 것처럼,
풀레인지가 잘 들리게 되어 있다고 본인도 생각합니다

이미 언급한것 처럼 귀의 감각 특성과 풀레인지의 특성이 같기 때문에.음량에 고저에 따른
무리가 없이 받아 들이는 것입니다

방에 있는 2000만원 짜리 오됴보다도,풀레인지 육반짜리 카스테레오 스피커에서  더욱더,리얼하게 들릴때가 많습니다.

뭐,!!음향적으로 도음이 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원천적인 것은 우리의  감각기능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