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정류관 이야기

by 윤영진 posted Mar 19,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에 처음 빈티지 진공관 앰프를 접하게 되었을 때, 여러가지 기본 상식을 많이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하나가 앰프에 꼽히는 부품 중에서 진공관에서는 정류관이, 여타 부품 중에서는 필터용 컨덴서가 별 음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때 들었던 아동틱한 의문이 그런데 "그렇다면 왜 WE 274B 같은 정류관을 백만원이 넘는 돈을 주고 사서 꼽을까?"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막상 오랜 동안 진공관 기기를 주물럭거리다 보니 필터용 콘덴서는 물론이고,
정류관의 음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주위를 돌아다보면, 희귀한 유럽산(주로 영국제, 독일제)을 사용하지 않고는 대부분, 많이 사용하는 미국산 앰프나 자작앰프에 사용되는 정류관의 종류는 그다지 다양하지 못합니다.
5U4 가족들, 5AR4, 5R4, 5Z4, 80, 83, 5Y3, 6X4....등등......
물론 5U4 대체관으로 영국산 U52를 사용한다든지, 5U4G 대신에 고가의 274B를 쓴다든지 하는 약간 희소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도 조금만 성의를 기울이면 미국산을 대체할 수 있는 영국산이나 독일산 정류관들이 그다지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구할 것이 아주 많습니다.
물론 이름도 생소하고, 구입하는 방법도 EBAY를 서핑하거나 외국의 딜러샾을 뒤지는 등 약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유럽관 중에서도 8핀 5V 타잎의 대체관을 찾는 것이지만,
그건 기성앰프에서 어찌하기 어려운 때이고....

그냥 자작을 할 요량이라면, 미리 히터 볼티지 등을 고려한 후, 그냥 유럽식 4핀 4볼트
정류관 중에서 전압과 전류량 등이 잘 맞는 것을 쉽고 싸게 쓸 수 있는 것들이 매우 많습니다.

그런데 왜 이런 권유를 하는가 하면....처음 말했듯이 정류관에 따른 음질의 차이가 분명히 강하
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40년 대 이전에 제작된 유럽산 고전 정류관들, 특히 같은 형번인데도 벌룬관일때와 그냥 판형과 매쉬 플레이트를 바꿔 꼽았을 때의 차이.... 등등을 느껴보면 힘껏 권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저도 최근 RS241 싱글앰프를 만들어 들으며 정류관 바꿔 듣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한 댓 종류 시험하다가 최근에는 주로 오스람의 U12 매쉬플레이트를 듣는데, 독일제 초단관과 출력관 가리지 않고 참 좋습니다.
독일산 정류관도 주로 애용하는 것이 메이커 앰프에 채택되어 잘 알려진 RGN1064, RGN 2504,
AZ1 등등인데, 이것들 말고도 덜 알려져서 그렇지 값싸고 좋은 관들이 수두룩합니다.
그리고 미국 출력관에는 미국 정류관을 써야 한다는 말도 미신입니다.^^

소리의 질은 274B 급인데, 값은 30-40달러 수준에 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말고도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럽제 정류관의 종류는 무지 많습니다.

출력관이야 미국산 중에도 좋은 관이 많지만, 이상하게도 초단관, 드라이브관, 정류관에서는
미국산이 유럽산보다 같은 스펙, 같은 가격에서 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