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쵸크코일의 중요성

by 윤영진 posted Nov 02,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원 필터용 쵸크코일은 대개 많은 분들이 사용을 합니다.
그로 인한 장점은 설명드릴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

문제는 플레이트 쵸크와 그리드 쵸크입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회로와 제작에서 이것들은 간단히 저항으로 대체가 됩니다.
가격이나 무게, 섀시에서의 장착환경 문제 등등을 고려한다면,
투자 대비 효과에 의문을 갖기 쉬운 부품입니다.

플레이트 저항이나 그리드 리크 저항이 해야 할 역할이 "직류 임피던스는 낮고 교류 인덕턴스는 높아야" 하는데, 저항은 이 두가지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이에 반해 쵸크코일은 용도에 가장 적합한 부품입니다.

물론 모두 이 사실을 잘 알고도 무게와 가격 때문에 저항으로 대체합니다.
저도 얼마 전까지는 "투자 대비 효율"에서 저항을 사용하는 것을 당연히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이 저항들을 쵸크코일로 대체하고 나서는 생각이 확 바뀌었습니다.

사실 하이 인덕턴스의 쵸크코일의 가격은 그다지 부담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개당 3만 원 안팎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게나 섀시 장착환경만 배려한다면 꼭 사용해야 할 부품입니다.

이 쵸크코일들을 장착하고 나면 음질이 괄목할 정도로 개선이 됩니다.
음이 선명하면서도 유연하게 바뀝니다.

말이 쉽지 진공관 앰프를 자작하거나 개조, 튜닝하는 작업을 해 본 분들은
"선명하면서도 유연한 음질"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잘 아실 겁니다.

음을 선명하고 해상도 높고 다이내믹스 높게 튜닝하면 꼭 겸해서 음이 날카롭고 딱딱하고 공격적으로 같이 변합니다.
이걸 다시 부드럽고 유연하게 바꾸자면 맥이 풀리고 멍청해 집니다.

이렇게 어려운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데 있어서 플레이트 쵸크와 그리드 쵸크의 사용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