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접

알텍 323,1520 회로

by 이규영 posted Oct 11,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위] 323  [아래]1520

323은 127회로와 거의 동일합니다.
가히 127 동생이라 해도 좋을것 같은데 6SJ7하나로 프리부를 만들어서 인티로 사용할수 있게 한게 다르고
위상반전단을 6J5대신 6SJ7을 삼결하여 드라이브하고 있습니다.
초단 케소드 저항과 출력관 케소드부분을 간략하게 한것 말고는 전원부등도 127과 아주 흡사합니다.
외형을 살펴보면 출력트랜스와 전원트랜스크기가 동일한데 전원트랜스 크기가 127보다 다소 작아 좀 불안해 보입니다.
그러나 이정도의 크기만 해도 6L6에서는 충분할것 같은 생각이 들며 제가 감히 알텍 기술진에대해
함부로 의심할 일이 못된다고 생각됩니다.

전술한 127,333도 마찬가지 이지만 빈티지 엠프 콘덴서류는 과감히 바꿔줘야 합니다.
퍽퍽하고 썩음썩음한 소리를 좋아한다면 그냥 써도 무방하리라 보지만 수십년된 콘덴서로는 맑고 투명한 음질을 보장받을수 없습니다.
또한 잘못된 콘덴서를 계속 사용하면 진공관이나 트랜스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수 있다는것도 잊으시면 안됩니다.

또하나 많이 쓰는 엠프가 1520이 아닌가 합니다.
이 엠프의 외관이나  회로를 보면 말 그대로 마당쇠 스타일입니다.
대형 극장에서 스피커를 몇조 물려 운영하는데는 실력을 발휘하겠지만 가정에서 사용시
자칫 잘못 운용하면 소리가 상당히 억세질수 있는 소지가 많아 보입니다.
그러나 트랜스등의 사용부품은 여느 알텍엠프에 뒤지지 않게 훌륭하다고 봅니다.

회로구성은 세번째단까지는 윌리엄슨 회로를 빌려온것 같습니다.
12AY7반쪽으로 초단증폭을 하고 다른 반쪽으로 PK형 위상반전단을 구성하였습니다.
알텍은 PK분할을 무지 좋아하는것 같습니다.^^
두번째 진공관인 6SN7(6J5*2)를 PP증폭으로 한번더 튀깁니다.
그 다음 세번째 진공관인 6SN7으로 케소드팔로잉하여 임피던스를 떨어뜨린후 출력관을 드라이브 합니다.

이 회로에서 문제는 3극관과 다르게 바람만 불어도 동작하는 5극관이나 빔관을 케소드팔로잉까지 하여
강력하게 드라이브할 필요가 있는가 입니다.
커플링도 증가하고 음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을것입니다.
초크 인풋방식이라 전원트랜스도 상당히 충실하고 출력트랜스도 한몫하는 엠프이니만큼 MT관인 12AY7를 빼버리고
6SN7두발로 윌리엄슨 회로로 개조하면 무지 좋은 결과를 가져다 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