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정보

초보를 위한 험 방지와 대책

by 이승호 posted Aug 25,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렵사리 앰프를 자작 하였는데 험이 난다면 무너져 내리는 가슴 어쩔길이 없겟죠
그러나 걱정 하실것 없습니다.

험이라 하면 전원에 60hz 가  Ib의 변화로 출력중에 나타나는 것을 험이라 하죠

험 방지 대책
1.히터에 마그네틱험
마그네틱 험은 교류 점화시 60hz 가 케소드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험입니다.
(대책으로는 고신뢰관을 사용하는것도 좋으며 초단 히터전압을 10프로 적게 거는것이 좋으며
초보자들께서는 히터배선을 쉴드선으로 사용하는것을 권장합니다.)

2.히터 케소드 절연불량과 에미션감퇴
즉 히터와 케소드간 리이크라하는 것은 히터표면에 에럼덤 처리된 것이 손상 되므로 발생하며
이경우는 진공관에 교체가 필수적입니다.(히터전원 체크요)

3.프레이트 전압중에 리플
전원에 리플은 쵸크및 콘덴서의 용량을 증가시켜 해결하는 방법밖에 없으면 추가적인것은
대책에서 기술하겠습니다.

4.그리드 회로에서의유도
보통 그리드는 임피이던스가 높으므로 험에유도가 잘된다는 것을 염두에두어 쉴드선을
사용하는것이 필수적이나 쉴드선은 고역을 감쇠하기때문에 가능하면 짧게꿁은선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합니다.  쉴드선은 한쪽만 접지하는것이 험방지에 유리합니다.

5.자력선
전원트랜스와 아웃트랜스 간에 누설자속으로인한 험발생 앰프를 설계하실때 이점을 생각하여
위치지정 필수  작은 샤시위에 모양좋게 배치하기가 쉽지않죠
미리샤시위에 놓고 스피커물리고 전트랜스 AC 전원 넣어보기 좋은방법이죠


이상과같이 험발생에 주요 포인트를 점검해보았습니다.
그러나 이미 만든 앰프에서 험이 발생한다면 몇가지 체크를 해보지요
1.앰프에서 정류관을 제거한다(다이오드 정류방식은 B 전월 제거) 그리고 전원을 넣어본다.
이때 험이발생한다면 전원 트랜스에 불량확률(90%)트랜스간에 누설자속(10%)
전원트랜스는 오래사용하면 열화등 레귤레이션 감퇴등으로 못쓰게되지요 그래서전
중고 트랜스는 아무리 이름좋은것도 안 삽니다.
2.이때는 험이없으면 B 전원에 리플이 대부분이죠 전원리플은 쵸크와 콘덴서 등을 좋은것으로
교체하면 대부분 잡힙니다.
회로에는 없지만 리플을 제거하는 노하우 정류관 케소드와 프레이트사이에 내압이 높은( 0.001-0.002 1000V )정도에 세라및콘덴서를 달어준다.
전원 트랜스 2차 300 V 0 300V 0볼트와 300V 사이에 (0.002  600V) 정도에 필름 콘덴서를 그러니까 두개가 되겠지요 달아준다.
마지막으로 각 진공관에 에미션 감퇴 등은 진공관에 교체로 알아본다.
그외에도 험이 발생하는 요인은 많으나 꼭 페어 메칭된 진공관을 사용하시고  양질에 아웃트를
사용하기를 권함 (여기서 양질이라함은 외제 빈티지 이런것이 아니라 열화되었거나 래귤레이션
이좋지않은 중고트랜스 는  노 노

마지막으로 고수님들에 노하우나 부족된부분에 많은 리플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