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LC 필터와 RC 필터

by 한봉석 posted Dec 27,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앞서 게시물에서 논의되었던 내용 정리삼아 올려봅니다.

위의 두 그림은 전원 시뮬레이션 툴로 각각의 그림에 나타난 회로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입니다. 물론, 이 결과는 이상적인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각각의 부품 특성 역시 제가 임의로 넣은 것이므로 실제 상황과는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1. CLC 필터 - 1차 C는 20u, 2차는 40u 입니다. 앞의 게시물에서 20u/20u 가 거론되어졌지만 실제로 그렇게 작게 하는 경우는 잘 없기에 2차를 40u 로 키웠습니다. L인 쵸크는 정호윤님이 언급하신 10H 234옴으로 지정했습니다.

2. CRC 필터 - 1차와 2차 각각 200uF로 잡고 R1은 1W 정도의 발열을 감안하여 100옴으로 잡았습니다.

기타 전원은 333V, Load는 constant current 100mA 입니다.

우리는 Load단의 전원 리플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전원이 안정된 10초 후의 전원 리플을 관찰했습니다. 리플의 크기인 V(I1)의 diff 값은 각각 CLC에서 113.2mV이고 CRC에서는 187.76mV입니다. 이 경우에는 근소한 차이로 CLC의 리플 제거가 우세이군요.

물론 위의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캐패시터의 크기를 바꾼다거나 CRC의 저항값을 바꾸면 결과는 얼마든지 달라집니다. 정류방식에 따른 음색은 절대적인 기준이 없으니 논 외로 하더라도 얼마만한 크기의 캐패시터를 내부에 장착할 것인가, RC 필터의 저항에 따른 발열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등등은 충분히 고려할만한 요소입니다.

또한, 오디오의 경우 위의 예와 같은 constant current load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따른 고려도 필요합니다. 예로 사용한 tool을 이용하시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가지 방식은 서로에 대해 절대적인 우열을 가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설계자가 설계 의도에 따라 원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류부가 진공관일 경우에는 초기 돌입전류 제한이 낮으므로 콘덴서 값이 작을 수 있는 CLC가 유리할테지만 RCRC형으로 하면 얼마든지 RC 필터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