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옛날 오디오의 NFB 형 포노 앰프 만들기

by 곽홍해 posted Mar 13,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포노 앰프란 RIAA 특성에 의하여 위 그림의 녹색 Curve와 같이 1Khz를 기준으로 저역은 이득을 낮게 반면 고역은 이득이 높게 하여 LP 음반이 만들어 지며 포노 앰프에서는 빨강색 Curve와 같이 저역은 이득을 높게 고역은 이득을 낮게 증폭되어 이퀄라이징 되므로 파란색과 같이 전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마스터 테이프와 같이 평탄하게 됩니다.

아래 회로도는 전형적인 포노 앰프 회로 입니다. 포노 앰프는 대부분 고 증폭 3극관인 12AX7(이하 X7로 함)을 사용하며 2단 증폭후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하여 NFB(Negative Feed Back)를 걸어 RIAA Curve를 이궐라이징 하게 됩니다. 포노 앰프 설계시 일반적으로 X7 1단 증폭시 증폭률은 35db(55배)로 합니다.

MM 형 포노 카트리지의 출력 전압은 5mV 내외로 보통의 라인 프리 앰프의 입력에 필요한 200mV 이상으로 증폭 시키기 위하여 X7로 일단 증폭 하면 55배가 증폭되어 충분 하지만 이퀄라이징을 위하여 NFB를 걸면 30~35db의 손실이 생기므로 X7로 1단을 더 증폭하여 이퀄라이징도 하고 약 250mV 정도의 출력도 얻게 됩니다.

아래 회로도에서 아래에 있는 R1/R2 저항과 C1/C2 콘덴서에 의하여 RIAA 이퀄라이징 용 NFB 값이 결정 되는데 아래에 있는 저항 및 콘덴서 값은 옛날 유명 메이커의 프리 앰프에서 사용된 값 입니다. 각 메이커 마다 자기들의 앰프가 RIAA Curve를 가장 잘 재생한다고 합니다….

각 메이커 앰프의 회로 마다 값이 다른 이유는 이득이 조금씩 다르고 특히 만든 사람의 취향이 다르기 때문 입니다.

     Model                       R1       R2           C1       C2

Shure/M65                   100K     7.5M       470pF    1800pF
Dynaco/PAS-3             100K     680K      1600pF    5600pF
Audio Research/SP3     100K     4.7M        68pF     2750pF
Bogen/DB202F               47K     680K      3300pF    4700pF
Fisher/500C,800B          270K      2M         390pF   1500pF
Conrad Johnson/PV-5   100K     1.82M      750pF   2700pF
Ampex                         100K      10M      1000pF   5800pF
Marantz/7                      ?           ?            ?           ?
McIntosch/C22               ?           ?            ?           ?
Mullard                        560K       -           150pF     560pF
Sherwood/                   200K      15M       100pF     1000pF
Eico/HF85                      90K     2.2M       850pF     2200pF

맥킨도시 C22와 마란츠 7의 포노 이퀄라이저는 실력이 없어 회로 분석을 못하는데 아시는 분은 자세한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포노 앰프 기판을 하나 준비 하시고 취향에 따라 R/C 값을 바꾸어 가면서 시청을 해시기 바랍니다. 음색이 조금씩 바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