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e] 아래글 듀얼 라인 트랜스 프리의 튜닝 3차 회로도입니다

by 김상준 posted Sep 28,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상기 회로도는 현재상태의 실측 회로도입니다
>추가는 용량변경..신규는 파워와의 게인조정및 임피던스매치를 위하여...
>
>
>그림그리는 실력이없어 그리는데...참...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보시시가 거시기하시드라도,,,웃고 가셧으면 합니다
>
>
>입,출력 공히...현재는 업바란스결선을 한상태이며
>앰프 케이스 교체시 바란스단자 추가로 입출력 단자 신설할 예정입니다
>
>
>회로도 관련 질문사항이 있는데...현재시간이 없어 져녁에...사항 적겟읍니다
>
>참,,저의경우 본 트랜스프리로 파워와의 임피던스및 게인 정합을 위해
>다음과같이 실험 해결점을 찿았읍니다
>
>**********************************************************************
> 프리입력  , 출력  게인 조정 및 파워와의 임피던스.게인정합 사례
>***********************************************************************
>
>    인풋 게인 : 입력 2회로중 1개회로에..독일제 50k 2련 a타입 게인볼륨으로  해결
>             ==>> 본시 50k 직결 350옴 병렬 로 저항을 달 예정이었으나..저항도 마당한것이없고
>                     또...파워게인에 맟춘값이므로 파워가 바뀌면 저항값도 변할터라,,,
>                     그냥 2련 a타입 입력 게인볼륨으로 타협했읍니다...조정은 쉽네요
>                     소형 독일제 2련 고급이라  음색이 변한것같지않아 앰프 후단 측면에
>                     부착하였읍니다( cd 나  입력 볼테이지 높은기기에 유리합니다)
>                  =>> 입력 나머지 1개회로는 그냥 open 으로 ,,하여 입력
>                      (턴.튜너등 입력 볼테이지 낮은것 은 이단자이용하면 될것같군요)
>  프리아웃게인 : 최종 50k 직결 150옴 어스f로 하여 파워와 게인을 맟추었읍니다
>                      (단,,여기서 프리게인저항을 다는것은 파워와 임피던스매치를 위함 이며
>                            적정 출력-프리볼륨연동-과유관된것임)
>               **특이한것은 파워와의 게인및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출력단 션트저항은
>                  애초에 50k직결 / 150r 어스로 맟추었으나  저역 양감 증대를 위해
>                  회로에 없는 케소드 바이패스콘덴사를  추가하여 10uf에서 100uf까지
>                  은 탄탈 콘덴사로 테스트해보니..50~60uf대가 가장 좋았읍니다
>              
>                  그런데..내부 증폭률이.약간커져 현재 출력 션트저항은 100k/100 R으로
>                  달아 다시맟추었읍니다
>                
>                  여기서 주의해야할사항은
>                  이...션트저항이란게. 파워게인에 따라 변해야한다는 예기입니다
>                  기본적인 상식으로 600~650R 을 어스시켜보았는데...
>                  험이...너무커서 파워 게인을 잡는게 어려웠읍니다
>                  즉...직결은 임피던스.어스는 게인 이...파워앰프에따라 다른값으로
>                  설정해야한다라는 예기입니다
>                  아마...소출력 싱글정도면 게인이 아주낮기때문에..가능한지는 모르겟으나
>                  현재 저의 6588파워의 경우 A급증폭 약 65W 정도의 출력이라,,,
>                  트랜스프리와의 매치에 애로사항이 많았읍니다
>
>                  이 부분에서 대략의 경험치스펙은 다음과같은 게인과 임피던스정합의
>                  저항치가 나옵니다....
>                   직결 저항치         어스저항치
>                   50K                       150R
>                   100K                      100R
>                   150K                       50R
>                  
>                  어스저항치는 큰값으로 갈수록 게인이 맞지않아..험이 증가합니다
>                  단...직결저항치로 일차 임피던스를 맞춘뒤...어스로 게인조절을 하였읍니다
>
>
>                 따라서 회로시정수변경분(이득 추가분으로 가정)
>                  1) 2.0UF-->2.5UF
>                  2) 0.05UFUF--> 1.0UF(초단 커플링)
>                  3)  바이패스콘없었음-->추가 60UF (케소드 바이패스)
>                       기존 21V ....현재 13V
>                    만큼 내부저항을 수정하여
>                   초단 증폭도를 좀더 내려야겠읍니다
>                여기서 입력 그리드저항 1M 는 제외하엿읍니다
>                100K 부터 테스트해보앗지만,,,청감상 1M 까지는 그 차이를 느끼기 어려웠읍니다
>                해서 기본 경험치로 프리...1M  파워 100K ~150K 정도로 알고 추가하였지요
>
>
>
>여기서 임피던스와 게인정합이란,,
>쉽게 예기해서
>파워볼륨OPEN(최대치)- ->>프리볼륨 OPEN(최대치)-->>소스기-CDP-프레이일시정지
>등의 순서대로 모든 기기의 동작점이 최대치가 되엇을때...
>험및 노이즈등이 일절 들리지않아야된다는 조건에서입니다
>
>저의경우 511혼 드라이버 110DB 혼에서조차 귀를 대도 아무런소리가 나지않게
>조정할수있었읍니다
>(개인적인 방법이므로...타당성은 글쎄요!!!!...고수분께서 한말씀 해주셧음 합니다)
>
>다만...현재의문제점은
>
>1,튜닝시 일부 시정수가 바뀐부분을 100%보완치않아 볼륨 7에서 이그러짐이 발생함으로
> 다음과 같이 조치하려합니다
>
>  1)초단 플레이트->출력관 입력 그리드저항을 조정 (475K--->??)
>  2) 아예 튜닝의 그레이드는 맟추어진 상태이므로 초단을 6AU6에서 증폭도 가
>     더 낮은 초단관으로 대체하고 초단 시정수를 변경하여 재 결선 (예: 6C4...등??)
>     초단 이득이 낮음으로 프리출력이 대폭감소하여 파워와의 정합에...여유가 있을것으로
>    사료됩니다)
> 3) 초단 커플링을 1.0UF에서 0.5UF로 약간 내리면 좀더 여유가 있겟지요..
>
>2...상기 1항의 문제점과 대책이...고수분의 현안에...어떤 답이 있을지...
>    아울러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근님
집 이사관계로 오랜만에 컴을 봅니다
벌써 3차 업글까지 가시다니 대단하십니다
대단한 분들이 댓글을 올리셔서 저는 그냥 참고만 하시라고
글 올려봅니다
위 프리의 문제가 이득에 관해서라면 임피던스관계는 제외하고
이득에 관해서만 언급을 합니다
보통 프리의설계에 있어서 (참고서적이나 아는바로는)
표준설계로 말씀드리면
튜너나 옥스 테입등 소스의 정격출력 전압을 0.1 - 0.2v로 잡는경우
프리앰프의 표준소요이득은 이의 5-10배(14-20db)로
즉 보통 프리정격 출력전압은 1v로 설계를 많이 합니다
이것은 소스로부터 직접 프리초단에 입력되는 전압값을 전체소요이득으로
환산한것이구요
그러나 프리초단입력에 압력트랜스가 달린 경우에는 초단 설계가 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입력트랜스를 붙인경우의 초단에서 받는 전압을 계산해보면
소스출력전압을 0.1v로 하고 20k:200k의 트랜스출력 전압을 계산해보면
0.1 * 트랜스권선비 * 피크투피크시 계산값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0.1 * 3 * 루트2 * 2 = 약 1.7v 가 나오네요
이 전압값이 정격출력 전압으로서 초단을 여진한다면 초단은 이이상의 허용입력을
받게 설계해야 합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했지만 보통의 프리와는 그맥을 달리하기 때문에
보통의 설계를 한다고 해도 입력트랜스 방식에서는 전체 소요 이득을
10배만 주어진다고 가정해도 프리정격 출력전압이 어느 정도 인지는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1단 구성인 경우에는 부궤환을 적절히 걸면 문제가 되지
않을수도 있지만 2단구성인 경우 그것도 5결접속인 경우의 이득은 초단이득과
종단이득의 곱이 전체소요이득이라 생각했을때는 위프리의 정격출력전압은 아무리
부궤환을 적절히 걸더라도 보통의 프리의 출력전압과는 그궤를 달리하는것이므로
이런 경우 보통의 파워앰프의 입력감도를 0.7v에서 1v라 가정하면
위프리를 매칭시킬 경우 어떤문제가 발생하는지는 아실거라 생각들고
물론 파워측에 입력볼륨을 달아 게인 조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프리와 메인 사이에 어느 시점부터는 파워에클리핑이 발생을 하기 때문에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입력트랜스의 권선을 바꾼경우에는 당연히 위의 계산식에 의하면
0.1 * 권선비0.31 *루트2 *2 = 0.89V가 나오네요
따라서 위의 출력전압은 피크투피크시 1.7 -0.98=약 0.7배 정도의 감쇠가 있습니다
결국 트랜스이차 이득이 내려간만큼 프리의 이득이 내린 것으로 볼수있읍니다
위에 제가 비슷한 형태의 회로를 2개 올렸는데 이는 고전 리크프리와 그에 매칭된
파워입니다
회로에서 보시면 아실테지만 초단 5결 종단3결로 마무리하고 초단에 5극결속을
하느라 회로설계에 고심한 흔적이 보이는데 초단설계의 경우 특히 5극인경우
초단 공급전압은 될수있는한 낮게하고 다음단의 동작조건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최선의 방법임을 알 수 있고 세계적인 명 프리들도 초단을 5극구성하는 경우
이런식으로 최적화를 한 회로가 많더군요
하물며 입력트랜스방식 경우 이영향을 무시할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고 생각들구요
각설하고
하였튼 위회로에서 초단 5극구성을 하고 톤콘트롤단을 삽입하고 종단측 출력에도
이와 같은 회로를 만들고 결국 종단이 3결이지만 이득관계상 출력게인을 달아논 것을
볼수 있는데요 여기서는 톤콘트롤단을 삽입하면 이곳에서 이득이 많이 내려가고
또 고역과 저역을 조정할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기 때문에 달리 회로를건드릴
필요없이 어느정도 효과적으로 이득을 내리는 방법을 쓴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재근님에게 한가지 꼼수를 말씀드리면
이것은 제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이것이 잘못되더라도 민,형사상의 법적책임이 없음을 아울러 밝혀 둡니다 ㅎㅎ
원회로에 충실하다는 가정하에
프리출력---) VR1----)톤콘트롤앰프-----)VR2----)버퍼회로----)파워입력(볼륨제거)
이런 방법은 고급프리에서 많이 이용하는 방식인데요
프리출력신호가 높더라도 톤콘트롤전단에 VR1이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면
톤콘트롤앰프는 클리핑을 일으킬수가 당연히 없고 VR2로 톤콘트롤 앰프에서 나온신호를
조정하면서 파워의 게인을 맞추는 방법인데요
이때 버퍼단을 삽입한 이유는 VR2의 변화에 의해 프리출력임피던스가
변하기 때문에 버퍼회로를 삽입한것이구요 이버퍼회로를 꾸미지 않아도
될수있기 때문입니다
간단하나마 제가 알고 있는 자료를 통해 소개를 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