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기

6AS7G-7236 라인 프리앰프

by 정호윤 posted Sep 18,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6AS7G를 증폭관으로 쓴 프리앰프를 만들었습니다.

IMG_4163.jpg

<이번에 쓴 손잡이는 아시는 분은 아실 그 손잡이입니다.>


최근 계속되는 진공관의 증폭율을 그대로 쓰는 낮은 이득의 프리앰프를 만들면서

언젠가는 큰 관으로 만들어야겠다. 라는 생각을 현실화했습니다.


큰관에 낮은 증폭율이라고 한다면 역시 6AS7G 계열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공표 증폭율 3대로 이런 저런 부분을 빼면 높아야 2배 이하가 됩니다.


이번에 쓴 전원트랜스포머는 12B4-12HG7에 썼던 파워앰프용 전원트랜스포머를 돌려쓴것으로

히터 권선 전류는 6.3V 5A/3A 둘로 병렬 연결 후 정류하여 직류점화를 한다면 가능한 전류량은 1.5A 근처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과감히! 교류점화를 했습니다!

6AS7G_7236_MF_SCH.png

기본적으로 6AS7G(A)/6080(WA/WB)(실사용 6AS7G) 으로 증폭하고,

WE 421A/5998(A)/7236(실사용 7236)을 부하로 쓰는 MU FOLLOWER입니다.


간단히 간다면 역시 SRPP가 으뜸인데, 너무 간단한 부분도 재미가 없어서 좀 복잡하게 해보자. 라는 생각으로 발전시킨것이

위/아래로 나누고 MU FOLLOWER가 된것입니다.(<ㅡ미쳤었던 것입니다.)

IMG_4159.jpg

원래 대전류를 다루는 관이라 적당한 직선성을 갖는 위치로 올라가려니 전류가 생각보다 많이 흘러야했고,

그 결과 각 채널당 30mA(프리인데???)정도가 흐르게 되었습니다.


상정한 전류량에 맞춘 전원전압에 정수를 짜 넣고 계산하니 전류가 흐르는 부분의 저항은 5W/5W/10W 를 써야하는것으로 나왔습니다.

6AS7G 케소드저항은 계산 상 10W 정면 되었는데, 예전에 사둔 20W 저항이 있어 그것을 썼습니다.

IMG_4180.jpg

<개인적으로 이번 기기에서 가장 좋아하는 각도입니다.>


MU FOLLOWER에서는 원리상 증폭관의 신호가 부하관의 그리드로 입력될때 커플링커패시터를 지나야 되는데,

부하로 쓴 WE 421A/5998(A)/7236은 동작은 비슷한 편이나 그리드저항상한이 상당히 차이나서

큰 5998이 500kR이나 되지만, 7236이 250kR, WE 421A은 고작 100kR 뿐입니다.


여러 관을 바꿀 수 있도록 설계할때는 언제나 가장 낮은값을 쓰는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100kR이 선정되었고 이때 알맞는 값은 대략 0.47uF 이상이 되어야되는데,

가지고 있는 소형 필름 커패시터에서 적당한 녀석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던 중 WE 장비에서 걷은 커패시터가 기억나 이번에 써보았습니다.

IMG_4190.jpg

0.511uF 로 값도 적당하고 내압도 200V로 안심할 수 있는데다가 크기도 작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6080/5998 조합으로 6080은 그라파이트 플레이트를 가진 6080WA/B를 쓰고 싶었지만,

IMG_4122.jpg

가지고 있는 관들이 잡음이 나 쓸 수 없었습니다.


저주파 증폭용으로 쓰도록 만든 관이 아닌것을 알고 썼지만,섭섭함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십수개의 6AS7G(A)/6080(WA/WB)과 WE 421A/5998(A)/7236 중 문제가 없는 조합은 겨우 겨우 찾아

CHATHAM 6AS7G와 SYLVANIA 7236으로 마무리 했습니다.

IMG_4158.jpg


필요한 전원전압은 약 300V에 전류가 상당히 흐르는 상황이라 딱히 정전압을 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정류관 정류 - 필름커패시터 - 초크 - 전해커패시터 라는 전통적인 회로로 정리했습니다.

IMG_4193.jpg


이번 프리앰프는 히터권선을 같이 쓰는데, 6AS7G(A)/6080(WA/WB)는 히터케소드 절연전압이 +-300V인데 비해

WE 421A/5998(A)/7236는 고장 +-100V 뿐이라 히터 띄우기는 WE 421A/5998(A)/7236의 부담을 더는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히터 띄우는 분압기는 전해커패시터 밑에 있습니다.

IMG_4187.jpg


거기에 더해 조금이라도 험을 피하기 위해 험밸런스를 추가했습니다.

IMG_4183.jpg

고정판에 전력가변저항을 붙이고 기판지지대로 띄워 축끝만 살짝 나타나 튀어나온 부분이 없도록 했습니다.

덕분에 히터권선을 정류해 셀렉터회로를 운용할 수 없어 셀렉터회로용으로 조그만 전원트랜스포머를 더했습니다.


교류점화로 인해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전무 라고 할 정도로 문제가 생기지 않았습니다.


전체적인 배선모습은 이렇습니다.

IMG_4176.jpg


앞모습입니다.

IMG_4172.jpg


전기적 특성입니다.


※ 전기적 특성은 사람의 신체검사와 같은것으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기계적 특성이 재생음색을 나타내는것도 아니고, 기계적 특성의 우수함만을 목표로 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제가 만든 기기의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고 싶을 뿐입니다.


모든 결과는 별도의 알림이 없으면 왼쪽 채널 기준입니다.

이득 : 약 1.65배, 약 4.35dB @ 1kHz, 100kOHM
잔류잡음 : 양쪽 공히 0.3mV, JIS-A 보정 0.0063mV @ 100kOHM
찌그러짐  : 1V 출력시 0.05%, 1kHz, 100kOHM

주파수 특성입니다.
6AS7G_7236_MF_fr_res.png
CR 결합 특유의 널찍하고 평평한 주파수 응답을 보입니다.
5Hz~199kHz는 -2.16~-0.35dB, 20~20kHz -0.06~0dB입니다.

입출력 특성입니다.
6AS7G_7236_MF_inout.png
발진기 한계까지 일정하게 출력이 늘어납니다.

이번에는 주파수별 찌그러짐은 생략합니다.

얼짱 각도입니다.
IMG_4152.jpg

만듬에 있어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대부분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특히 관이 큼직해 보는맛이 일품입니다.

고맙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