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300B 등 싱글 자작시 의문점 장석헌<s

by 장석헌 posted Feb 12,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수님들의 고견을 기다립니다.

300B 싱글 등을 자작하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자료가 없어 질의하오니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1. 300B 싱글 등에는 직류점화시 캐소드에 100옴 험발란스 볼륨을 부착하거나 50옴 두개를 직렬로 연결한후 중간에서 캐소드 저항,  접지를 합니다.
1) 이 경우 양방식의 중요한 차이는 ?   -- 전기적 특성상 이나 험 등에서 차이가 나는 지요 ?
     동일하다면 50옴 저항두개를 사용하는 방법이 워낙 편리하고 작업도 수월할 텐데 굳이 100  옴   험발란스  볼륨을 사용한 회로가 많은 이유가 무었인가요 ?

  2) 진공관의 험 레벨이 각각 달라서 라면 디지털 테스터로 정밀 측정해서 50옴 두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방법이 아닌지요 ?

2. SRPP로 초단을 증폭 할때(5692 등) 6.3V 히터에 약 - 80V 정도의 히터 바이어스 전압을 거는 데 + 80V 와 차이점 ?  또 이 경우에도 50 옴 저항을 연결하여 센터 어스를 해야 되는 지요 ?
하지 않는 회로도 있던데 그 차이점은 무었인가요?

3. 300B 히터를 배선할때 먼저 험레벨 볼륨을 거친후 히터에 가는 지 아니면 바로 히터로 가고 험레벨 볼륨은 연결만 해도 되는 지요 ? (제 주변의 비 전문가 들은 어떻게 해도 관계없다고 하는 데 그런지요)

4. 300B 정류관으로 보통 274B를 선호하는 데 제 작은 소견으로는 GZ34가 방열관이라 약 10초후 B 전압이 인가되므로 진공관 보호에는 더 나을것 같은데요 제 막귀로는 15인치 탄노이 레드에서 나오는 소리가 274B, GZ34, 422A, 5U4G와 서로 구별이 쉽지 않더라구요 혹시 전문적인 데이터나 자료가 있으신 분은 부탁드려요

5. 초단 캐소드 저항  병렬로 탄탈콘덴서를 많이 쓰는데 가게에서 파는 콘덴서중 탄탈이라고 쓰여 있지도 않는 데 -- 구별하는 방법은 있습니까 ? 그리고 습식 탄탈이 더 좋다고 하는 데 습식의 구별방법은 무었인지요 ?

6. 정전압 회로(B+ 혹은 히터전압)를 요즘 많이 채용하는 데 정말로 그 차이가 있는지요 ?-- 음질적 혹은 데이터 적으로도 차이가 많이 나는지요 ?
    차이가 있다면 왜 비싼 마란스 7 프리나 9 파워, 매킨 275 파워는 채용을 하지 않았는지요?
      
7. 혹시 다무라 아몰포스 비싼 신형 트랜스로 제작하신분 있으시면 다른 트랜스, 다무라 보통, 올닉의 니켈, 파트리지, 웨스턴, 피어리스, 마그네퀘스트 등과 다른점이 무었인지요 ?

8. 인터스테이지의 경우 보통 주파수 대역이 20 - 15KHZ 가 보통인데 그럼 15이상은 나오지  
   않는 것이 되나요 ? -- 그렇다면 고역이 아주 답답해지지 않을 까요?

9. 보통 단선 접지선을 공중에 띄우는 경우를 볼 수 있는 데 웨스턴이나 매킨 같은것은 잘 살펴봐도 신호선과 함께 연선을 실로 묶어서 접지를 한 것을 볼 수 있더군요 공중에 띄우는 것과 신호선과 묶는 차이점은 무었인가요 ?

10. 접지를 초단관 부근에 1점 어스 하는 것과 신호는 초단관 전원부는 정류 콘덴서 부근에 2점 접지하는 파로 분류되는 데 중요한 음질과 험레벨의 차이점이 있는지요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