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정보

초크인풋과 콘덴서 인풋의 차이도 있습니다

by 이연호 posted Apr 29,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래 다이오드와 정류관의 차이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요.

원래 서울 안가본 사람이 더 큰소리 치는 법 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정류관에 따른 소리차이를 반신 반의 했습니다.

\'아마 정류관 차이에 따른 전압차이가 발생해 그럴 것이다\' 라고생각했습니다.

그러던 차에  예전 만들었던 프리에 중국제 5ar4 에서 얼마전 팔아먹은

암페렉스 5ar4 로 바꿔껴보고 프리앰프가 바뀐지 알았습니다.

전압은 차이가 거의 없었고요.

정류관에 따른 차이는 분명히 있습니다.

저는 다이오드 방식이 나쁘다는 것이 아닙니다.

호방함과 시원함. 분명히 다이오드 방식의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이오드 방식과 정류관 방식의 차이가 없다고 하는 분들은 아마

실제 해보지 않으신 이론적으로만 생각하고 말씀 해보는 분들일것 입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정류관에 따른 소리 차이는 전압차일 것이라고요. 하지만 경험해보니

아니더군요

정류관 사이에도 소리의 차이가 있습니다. 다이오드와 정류관과 없다는건.. 좀..

그리고 콘덴서 인풋으로 만든것과 초크 인풋으로 만든것과의 차이도 존재 합니다

최종 b전원이 같아도요.

예전 어떤 고수분이 \'정류관에 따른 소리차이가 잴 크다\' 라고 했을때

저는 속으로 \'전압차이 겠지\' 라고 생각했으나.  예전 프리앰프에서 경험을 해보고

어느정도는 수긍하고 있습니다. 중국에 5ar4 와 암페렉스 뷰글보이의 차이는 프리앰프의

초단관들이 바뀐 것 보다 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