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쵸크트랜스 용량계산법

by tgkang posted Nov 20,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원리를 궁금해 하니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무조건 따라 하기 보다는 그 원리에 대해 연구해 보는 것이 전자회로를 이해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 입니다.
우리가 자작에서 다루고 있는 대부분 엠프의 증폭회로들은 많은 이론이 필요하지 않은 간단한 전자회로들 입니다.

쵸크트랜스는 전원부에서 콘덴서와 협력하여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쵸크트랜스란 그냥 코일 덩어리라고 간단히 생각하면 되고, 코일의 전기적 성질은 전기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아주 싫어하여 교류전기 60HZ의 파동주기을 지연시키고 그 파고를 낮추어 버립니다.
(파동주기가 지연되어 길어지고 그 파고가 낮아진다는 것은 직류화 되어간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출렁거리고 있는 밧줄이 교류전기라면, 이 출렁이는 밧줄을 눌러서 덜 흔들거리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쵸크트랜스 입니다.

쵸크트랜스에 표시된 8H, 100ma의 뜻은 코일성분은 8H (Henry)만큼 가지고 있고, 전류를 100ma 까지 흘릴 수 있는 동선으로 제작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100ma 이상의 전류를 흘릴 경우 이 쵸크트랜스는 타버리고 말겠지요.
코일성분(H)이 커질수록 직류로 만드는 능력도 커지지만 부피가 증가하고 가격도 비싸지므로 전원회로의 수치에 따라 적정한 용량을 계산하여 사용합니다.

전원회로에서 사용할 코일성분의 크기(H)는, 전원회로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로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0V가 걸리고 100ma의 전류가 흐르는 전원회로가 있다면,
먼저 전압을 전류로 나누어 그 저항치를 구합니다.
즉, 300V / 100ma = 3000 ohm 이 됩니다.
이 저항성분 3000 ohm을 “1130” 이라는 상수로 나누어 주면 필요한 H가 구하여 집니다.
즉, 3000 ohm / 1130 = 약 2.7H 가 됩니다.

결과적으로 300V 전압에 100ma 가 흐르는 전원회로에 필요한 쵸크트랜스의 용량은 2.7H이상 되어야 하고, 쵸크트랜스의 전류용량도 100ma 이상 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쵸크트랜스의 헨리 (Henry)가 높을 경우 전체코일의 직류저항도 무시할수 없을 정도로 커지게 됩니다
(예, 30H 경우 그 직류저항분이 1K ohm 정도 됩니다).
이경우 코일의 직류저항으로 야기된 전압강하분 만큼 초기 인가전압을 올려 주어야 합니다.